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이용수 84

영문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Class Case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using Public Dat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재영(Jaeyoung Yoo) 김승현(Seung-Hyun KIM) 김귀훈(Kwihoo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45~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역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 후, 10차시 분량의 초등학교 공공데이터 활용 사회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두 차례의 델파이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세종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38명을 대상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두 집단 사전-사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학생들이 직접 공공데이터를 찾고 분석한 실험 집단이 교사가 제공한 데이터를 분석한 통제 집단보다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의 데이터수집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수집 영역을 제외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다른 영역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동일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공공데이터 활용 사회과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교사가 직접 제공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존 수업 방식과 비교하여, 본 연구의 수업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데이터를 찾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의 일부 영역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project classes that discover and solve local problems based on public data affect the development of data literacy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fter analyzing the need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by applying the ADDIE model, a 10-session social studies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using public data was developed and two Delphi test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two-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s of data literacy on 38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jong Cit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students directly searched and analyzed public dat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ata collection area of data literacy compete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which students analyzed data provided by teacher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the same improvement in other areas of data literacy except the data collection area. Conclusions This social studies education program using public data improved the overall data literacy skills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that uses data provided by the teacher, the teaching program in this study can improve some areas of data literacy competency by allowing students to find data on their own in their daily lives and use it to solve probl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재영(Jaeyoung Yoo),김승현(Seung-Hyun KIM),김귀훈(Kwihoon Kim). (2024).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 45-66

MLA

유재영(Jaeyoung Yoo),김승현(Seung-Hyun KIM),김귀훈(Kwihoon Kim).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024): 4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