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6

영문명
The Influences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and Social Support on Clinical Practicum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주연(Juyeon Lee) 홍세훈(Sehoon H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459~46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 임상실습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월경전증후군이 있는 학생 101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은 2.24±0.36점, 사회적 지지는 4.19±0.62점, 임상실습스트레스는 2.43±0.56점이었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β=.20, p=.030), 사회적 지지(β=-.32, p=.001), 학년(β=.27, p=.005)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8.25, p<.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18%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월경전증후군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and social support on clinical practicum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Method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101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an-sw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 IBM SPSS version 23.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social support, and clinical practicum stress were 2.24±0.36, 4.19±0.62, and 2.43±0.56, respectively. Clinical practicum str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8%,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8.25, p<.001). Social support (β=-.32, p<.001)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affecting clinical practicum stress, followed by grade (β=.27, p=.005) and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β=.20, p=.030). Conclusions To reduce clinical practicum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social support and avoid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programming and a policy proposal related to clinical practicum stress for nursing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연(Juyeon Lee),홍세훈(Sehoon Hong). (2024).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 459-467

MLA

이주연(Juyeon Lee),홍세훈(Sehoon Hong).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024): 459-4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