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185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Career Self-Directed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은(Jieun Choi) 조용선(Youngsun C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485~4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구안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우선, 대학생의 진로 자기주도성 관련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회기별 내용과 진행 방법을 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2023년 3월 2일부터 2023년 6월 16일까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한 뒤, 실험집단에 진로 자기주도성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도구로 대학생 진로 자기주도성 척도(최지은, 조용선, 2022a)를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진로 자기주도성의 7개 하위요인(진로자기이해, 진로책임감, 진로탐색에 대한 지속성, 진로수용성, 진로정보탐색 및 자원 활용, 진로자율성, 진로확신성),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에서 진로정보탐색 및 자원활용과 진로자기이해 영역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자신의 관심분야의 현직자 인터뷰와 강점과 연계한 실제적 진로탐색이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한다.
결론 이 연구는 진로 자기주도성이라는 진로변인에 주목하여,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불확실한 직업 환경에 처한 대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개발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self-dire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o this end, first of all, prior research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lf-direction was explored, and the purpose and goal of the program, and the specific session content and method of progress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test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40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March 2, 2023 to June 16, 2023. First, 20 people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a career self-direct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university student career self-direction scale (Ji-eun Choi, Yong-sun Cho, 2022a) was used as a tool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ll seven sub-factors of career self-direction (career self-understanding, career responsibility, con-tinuity of career exploration, career acceptance,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resource utilization, career autono-my, and career confidence). In particula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distinct changes in the area of career information search, resource utilization, and career self-understand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 a career self-dire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paying attention to the variable of career self-direction that was not foun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developed program, it is expected that university students in uncertain work environments will be able to develop their careers on their ow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