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이용수 268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WISC-Ⅴ and the KBIT2 for a Simple Intelligence Test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이진(YiJin Yang) 맹희주(HeeJu Mae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337~34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인 K-WISC-Ⅴ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인 KBIT2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초등영재들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지능검사지의 활용 적절성을 고찰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지능 검사에 참여 신청을 한 36명의 경기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21년 1월~2월까지 두 달 동안 K-WISC- Ⅴ지능검사와 한국판 KBIT2 지능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 방법으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K-WISC-Ⅴ와 KBIT2의 전체 지능 지수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r=0.823)이 있었다. 지표별 지능 지수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KBIT2 언어성은 K-WISC-Ⅴ의 언어이해, 작업기억, 유동추론, 시공간의 순으로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성과 특성이 다른 처리속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KBIT2의 비언어성은 K-WISC-Ⅴ의 유동추론, 시공간, 언어이해, 작업기억, 처리속도의 순으로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K-WISC-Ⅴ와 KBIT2의 전체 지능 지수간의 상관관계가 여학생들과 남학생들 양쪽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초등영재의 지적 수준을 판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K-WISC-Ⅴ대신 KBIT2를 사용하여 간편 지능검사 도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an intelligence test paper for a simple intelligence test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K-WISC-Ⅴ) and korean kaufman brief intelligence test(KBIT2).
Methods For the study, an intelligence test was conducted on 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ho applied to participate in an intelligence test using the K-WISC-Ⅴ and the KBIT2 for two months from January to February 2021.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Pearson's simple correla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0.823) between the total intelligence quotient of K-WISC-Ⅴ and KBIT2.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intelligence quotient by indicator, KBIT2 verbal abil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order of language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fluid reasoning, and space-time of K-WISC-Ⅴ, and no correlation was found with language ability be-cause processing speed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intelligence quo-tient by indicator, KBIT2 verbal abil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order of lan-guage comprehension, working memory, fluid reasoning, and space-time of K-WISC-Ⅴ, and it was not found no correlation with language ability because processing speed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KBIT2 can be used as a simple intelligence test tool instead of K-WISC-Ⅴ, which is generally used to check the intellectual level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