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44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Adaptation Experiences of Psychological Support Counselors for Jobseek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소연(So-Yeoun Jeoung) 이제경(Je-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615~6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상담현장에서 겪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고용센터에서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2023년 3월부터 5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이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을 통해 겪는 어려움과 적응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총체적 의미파악, 의미구분, 학문적 용어변환, 일반적 구조진술 등 4단계 절차로 분석하여 연구참여자 개개인의 경험을 설명하고 또 일반적인 구조 진술로 통합 서술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42개의 의미 단위와 17개의 하위범주, 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4개의 범주는 ‘동기’, ‘어려움 경험’, ‘적응 경험’, ‘보람과 의미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안정성과 자신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어서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되었고 둘째, 경제적 보상에 대한 아쉬움과 관리자들의 상담에 대한 낮은 이해, 다양한 내담자로 인한 역전이 경험, 그리고 부적절한 평가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셋째, 친밀한 지지기반이 생기고 상담사로서 효능감이 높아지고, 그 상황을 수용하면서 익숙해지고 또 일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자부심이 생기고, 자기보호적인 대처행동을 하게 되면서 상담사들이 적응경험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담자의 변화에 흐뭇해하고 상담사 자신에 대한 신뢰감이 높아지고 사회적 공헌한다는 면에서 보람을 느끼고 이 일에 대한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제도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고용노동부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정책제언과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 역량개발 관련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career adaptation experiences experienced by coun-selors in the employment center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at the counseling site and to clarify its meaning.
Methods Six counselors currently conducting a psychological support counselor for jobseekers program counsel-ing at the Employment Cente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to May 2023. In order to clarify the essential meaning of their difficulties and adaptation experiences through counseling i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upport program,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applied and analyzed in four stages: total meaning understanding, meaning classification, academic term conversion, and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explaining the experiences of each research participant and in-tegrating them into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ult of the study, 42 semantic units, 17 subcategories, and 4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ur categories were ‘motivation’, ‘difficult’, ‘adaptive experience’, and ‘reconstruction of reward and meaning’.
Conclusions First, I became a psychological support counselor for jobseekers because I could contribute to societ, stability and one's growth. Second,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regret over economic compensa-tion, low understanding of counseling by managers, reversal due to various clients, and inadequate evaluation. Third, counselors were experiencing adaptation as an intimate support base was created, efficacy as a counselor increased, new perspectives and pride in work were created while accepting the situation, and self-protective coping behaviors were developed. Finally, as new perspectives and pride were created, and self-protective cop-ing behaviors were taken, counselors were experiencing adaptation. Finally, he was pleased with the change of the client, felt rewarded in terms of increased trust in the counselor himself, and social contribution, and re-constructed the meaning of this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the employment center's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for jobseekers, and suggested poli-cy suggestions for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apacity of counselors for th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for jobseek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