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이용수 284
- 영문명
-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Teacher Cal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봉환(BongHwa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35~4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4년부터 2023년 7월말까지 유아교사, 소명의식을 주제어로 설정하여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3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게재 연도, 연구방법, 학술연구분야 및 학술단체, 관련 변수로 정리하였다. 정리한 자료를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같은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소명의식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대상 소명의식 관련 연구는 2014년 처음 시작되어 2018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23년 7월까지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대대수를 차지하였다. 학술연구분야 및 학술단체는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가 발간하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소명의식 관련 변수별 동향은 개인 요인 변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릿, 소진, 교사효능감, 긍정심리자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등이 확인되었다. 진로 및 취업 요인 변수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성, 진로스트레스 등이 분석되었으며, 근무 및 조직 요인 변수는 이직의도, 조직몰입, 직무만족도 등이 분류되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교직업무 수행과정에서 중요한 자질로 의미를 부여하는 소명의식 형성과 실천 역량의 증진을 위한 직무연수와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alling i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to related calling in early childhood teacher.
Method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35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4 to the end of July 2023 with early childhood teacher and calling as the keywords. For data analysis, the data were classified by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academic field, academic organization, and related variables. The trends of calling were then analyzed using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of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 calling first began in 2014 and increased rapidly from 2018. Second, As for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predom-inantly quantitative research. Third, The academic field with the most papers published was social science.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were published in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published b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urth, Trends in calling-related varia-bles included many variables related to Grit, burnout, teacher efficac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resilience. Career and employment factor variables were analyzed, including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stress, Work and organizational factor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on-the-job training and re-education programs to form a sense of calling and enhance practical capabilities, which are im-portant qualities in the teaching proc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