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Dual Statu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Materiality in Mathematics Education : Focusing on the New materialism
발행기관
수학교육철학연구회
저자명
문성재(Sung-Jae Moon)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철학연구』6권 3호, 221~23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신유물론의 핵심 테제인 물질의 행위성(agency)이 수학교육 공동체에서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그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특히 물질의 행위성을 부정적 역량과 긍정적 역량으로 구별하여, 수학교육연구에서 이러한 구별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부정적 유물론과 행위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각 역량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렇게 규정한 부정적 역량과 긍정적 역량의 의미를 통해 Lacan과 Barad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몇 가지 수학교육연구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정적 유물론과 달리 신유물론을 따르는 수학교육연구에서 새로운 수학적 이해와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의 생산적 힘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유물론적 관점은 새로운 물질 매체에 잠재된 고유한 교육적 역량을 탐구하고 활용하는 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material agency is conceptualized within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to derive its practical implications. Specifically, we interrogate how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aterial’s negative and positive capacities manifests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o accomplish this, we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capacities through the lenses of negative materialism and agential realism. Through this theoretical framework delineating negative and positive capacities, we analyze several mathematics education studies conducted from Lacanian and Baradian perspectives. Our analysis reveals that, in contrast to negative materialism,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nded in new materialism emphasizes matter's generative potential in facilitating novel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신유물론의 물질 개념 - 부정적 역량과 긍정적 역량
Ⅲ. 수학교육연구에서 나타나는 물질의 역량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성재(Sung-Jae Moon). (2024).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철학연구, 6 (3), 221-234

MLA

문성재(Sung-Jae Moon).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철학연구, 6.3(2024): 221-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