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이어그램적 추론에 기반한 수학적 탐구 고찰: Peirce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Mathematical Investigation Based on Diagrammatic Reasoning: Focusing on Peircean perspective
- 발행기관
- 수학교육철학연구회
- 저자명
- 박진형(JinHyeong Park)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철학연구』6권 3호, 251~2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 번째 목적은 다이어그램과 다이어그램적 추론에 대한 Peirce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다이어그램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의 쌍대성에 대한 Sfard의 관점을 토대로 다이어그램이 수학적 개념의 동적 측면과 정적 측면을 어떻게 나타내고 있는지 함께 확인하여, 다이어그램이 교과서에서 수 개념 지도를 위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두 번째 목적은 이러한 교과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적 탐구에서 다이어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이론적 논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 두 가지 목적은 한편으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교과서에서 다이어그램의 활용 방식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며, 다른 한편으로 실증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two primary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examine Peircean perspective on diagrams and diagrammatic reasoning and analyze how diagrams are utiliz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is perspective. In this process, drawing on Sfard's perspective on the duality of mathematical conceptions, the study explores how diagrams represent both the dynamic and static aspects of mathematical conceptions, focusing specifically on how diagrams are used to guide number concepts in textbooks. The second objective is to derive theoretical insights into the potential use of diagrams in mathematical investigation,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textbook analysis. These two objectives serve complementary purposes: on the one hand,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diagrams are employed in textbooks through a theoretical lens, and on the other hand,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grounded in empirical analysi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다이어그램과 다이어그램적 추론
Ⅲ. 수학적 개념의 쌍대성
Ⅳ. 교과서의 다이어그램 분석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철학연구 6권 3호 목차
- Freudenthal의 비 개념 주해
- 수학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수학 대상의 심미성, 수학적 감수성, 심미적 수학 실천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 다이어그램적 추론에 기반한 수학적 탐구 고찰: Peirce의 관점을 중심으로
- 포괄적 유물론에 비추어 본 인공지능 통합 수학교육의 기회와 도전
- 학생 참여를 높이는 수학 과제의 조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