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Freudenthal의 비 개념 주해

이용수 0

영문명
Explanatory Notes on the Ratio Concept of Freudenthal’s
발행기관
수학교육철학연구회
저자명
신재홍(Jaehong Shin)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철학연구』6권 3호, 181~20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에서는 Freudenthal의 비 개념에 대한 주해를 시도한다. 그가 말하는 비 개념의 주요 교수 현상학적 측면은 세 가지이다. 첫째, 비 개념은 두 수 혹은 크기 값이 결합한 순서쌍으로부터 출발하며, 둘째, 순서쌍의 집합인 비 집합 안에서 동치 관계를 규정하는 과정에서 비 개념의 진정한 의미가 드러나고, 셋째, 동치류를 대표하는 수(혹은 크기 값)를 찾아 함숫값으로 사상함으로써 비 개념이 ‘동치 관계’에서 ‘함수’로 확장된다는 점이다. 이를 관계-비, 내포량-비의 두 관점으로 나누어 논의하고 그가 상술하지 않았던 비 개념의 발생적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해 부연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provide an explanatory commentary on Freudenthal’s statements about the concept of ratio. He points out three phenomenological aspects of the ratio concept. First, a ratio concept originates with ordered pairs of numbers (or magnitude values). Second, the authentic meaning of the ratio concept is revealed in the process of defining equivalence relations in the set of the ordered pairs. Third, the concept is expanded from ‘equivalence relationship’ to ‘function’ by finding a number representing each equivalence class and mapping it to a function value. Based on those, I will explore the generativ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ratio concept, which he did not provide in detail, by discussing it from two perspectives: relation-ratio and quantity-ratio.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비 개념에 관한 인식론적 고찰
Ⅲ. 주해
Ⅳ. 정리하며
Ⅴ. 후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재홍(Jaehong Shin). (2024).Freudenthal의 비 개념 주해. 수학교육철학연구, 6 (3), 181-201

MLA

신재홍(Jaehong Shin). "Freudenthal의 비 개념 주해." 수학교육철학연구, 6.3(2024): 181-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