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수학 대상의 심미성, 수학적 감수성, 심미적 수학 실천
이용수 0
- 영문명
- Three Perspectives on the Beauty of Mathematics: Aesthetic Objects, Sensibility, and Practices
- 발행기관
- 수학교육철학연구회
- 저자명
- 노정원(Jeong-Won Noh)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철학연구』6권 3호, 267~27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심미성을 대상에 초점을 맞춰 바라보는 전통적인 관점으로부터 보다 경험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현대적인 관점으로의 변화에 관해 살펴보는 것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수학의 심미성은 단순성, 간결성, 명료함과 같은 수학 대상이 지닌 심미적인 특성들로 설명되어 왔지만,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그러한 심미적인 판단에서 작용하는 수학적 감수성의 작동 방식에 주목하기도 하며, 수학 탐구 과정에서 심미성이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실천적인 측면에서의 분석도 시도되어 왔다. 본 연구는 수학의 심미성에 관한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관련 국내 연구의 학문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hift in perspectives on the aesthetics of mathematics—from the traditional view, which focuses on the intrinsic qualities of mathematical objects, to more contemporary approaches that emphasize experiential and practical dimensions. Traditionally, the aesthetics of mathematics has been explained through properties such as simplicity, conciseness, and clarity inherent in mathematical objects. However, recent studies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functioning of mathematical sensibility in aesthetic judgment and have explored the roles that aesthetic practices play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inquiry.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concerning mathematical aesthetics and aims to lay a scholarly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수학 대상의 심미성
Ⅲ. 수학적 감수성
Ⅳ. 심미적 수학 실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철학연구 6권 3호 목차
- Freudenthal의 비 개념 주해
- 수학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수학 대상의 심미성, 수학적 감수성, 심미적 수학 실천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 다이어그램적 추론에 기반한 수학적 탐구 고찰: Peirce의 관점을 중심으로
- 포괄적 유물론에 비추어 본 인공지능 통합 수학교육의 기회와 도전
- 학생 참여를 높이는 수학 과제의 조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