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이용수 101

영문명
A Periodical Analysis of the Music Curriculum Content and Elementary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재란(Jaeran Lee) 승윤희(Yunhee Se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401~4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15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제1차 교육과정부터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찰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고,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기별로 음악 교과서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음악 교육과정 분석은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과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음악 교과서 분석은 총 11권의 분석 대상 교과서를 ‘음악 영역 및 활동’, ‘음악 개념 및 요소’의 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음악 영역 및 활동 분석에서는 영역별, 활동 유형별 비율을 분석하였고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는 학습 내용과 학습 내용의 학년별 위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음악 교육과정 분석 결과, 내용 및 내용 체계는 2011 교육과정부터 일반 교육과정과 형식 및 내용이 연계되어 구성되고 있었다. 음악 요소는 2008과 2011 교육과정에서 ‘소리’를 중심으로 제시되다가 2015와 2022 교육과정에서 대부분 음악 용어로 대체되었다. 음악 교과서 분석 결과 첫째, 음악 영역별 비율은 2008 음악 교과서와 2011 음악 교과서에서는 ‘감상’ 영역, 2015 음악 교과서에서는 ‘가창’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 활동 유형의 비율은 가창, 기악, 감상 영역 전반에 걸쳐 2008 음악 교과서에서는 ‘소리’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고,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에서는 ‘음악 개념 및 요소’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창작 영역에서는 ‘소리 만들기’와 ‘가사 바꾸기’ 활동이 주로 나타났으며, 생활화 영역에서는 전 교과서에서 ‘놀이’ 활동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 2008 음악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의 저학년 수준의 내용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는 ‘리듬, 형식, 빠르기, 셈여림’ 학습 내용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가락’과 ‘음색’ 학습에서는 학년별 연계 및 위계성이 불분명하게 나타났다. ‘화성’ 학습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고, 소리의 특성과 관련된 활동에서는 음악 개념과의 연계에서 지도상의 오류가 나타났다. 결론 특수학교 음악학습 내용의 범위와 수준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체계적인 교수·학습 연구가 요구된다. 교육과정의 흐름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제시한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의 음악 교육과정 개발과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집필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music education from the first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o the latest curriculum and provid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usic textbooks by each period. Methods The analysis of music curriculums was focused on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changes in content; 11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music area and activity,” and “musical concept and element.” For music area and activity, the ratios of music area and activity type were ana-lyzed, and for musical concept and element, learning content and the grade hierarchy of learning cont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content and content composition of music curriculums have been organized the same as those of the general curriculums since the 2011 curriculum. Music element was suggested with a focus on “sound” in the 2008 and 2011 curriculums, but it was mostly replaced with musical terms in the 2015 and 2022 curriculums. First, in the textbook analysis for the ratio of music areas, the area of “appreciation” was the highest in the 2008 and 2011 music textbooks and the area of “singing” was the highest in 2015 music textbook. When it comes to the ratio of activity types, the activity related to “sound” was the highest across the areas of singing, instrument, and appreciation in the 2008 music textbook. In the 2011 and 2015 music textbooks, activity related to “musical concept and element” was the highest. In the area of creation, two activities, “making sounds” and “changing lyric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the area of daily life, the activity of “play” was the highest across all the textbook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usical concept and element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2008 music textbook was similar to the lower grades of other textbooks, and the 2011 and 2015 music textbooks had a similar level of learning contents on “rhythm, form, tempo, and dynamic”.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melody” and “timbre,” association and hierarchy between grades had no distinct differences, and “harmony” was not sug-gested in most of the textbooks. In activit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instructional errors were found in the association with musical concepts. Conclusions The scope and level of music education content in special schools need to be improved; simulta-neously, research on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is required.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in music cur-riculum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music textbook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mu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for writing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특수교육에서의 음악교육의 의미
Ⅲ.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Ⅳ. 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란(Jaeran Lee),승윤희(Yunhee Seung). (2024).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 401-423

MLA

이재란(Jaeran Lee),승윤희(Yunhee Seung).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024): 401-4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