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이용수 244
- 영문명
- A Periodical Analysis of the Music Curriculum Content and Elementary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란(Jaeran Lee) 승윤희(Yunhee Se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401~4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제1차 교육과정부터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찰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고,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기별로 음악 교과서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음악 교육과정 분석은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과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음악 교과서 분석은 총 11권의 분석 대상 교과서를 ‘음악 영역 및 활동’, ‘음악 개념 및 요소’의 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음악 영역 및 활동 분석에서는 영역별, 활동 유형별 비율을 분석하였고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는 학습 내용과 학습 내용의 학년별 위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음악 교육과정 분석 결과, 내용 및 내용 체계는 2011 교육과정부터 일반 교육과정과 형식 및 내용이 연계되어 구성되고 있었다. 음악 요소는 2008과 2011 교육과정에서 ‘소리’를 중심으로 제시되다가 2015와 2022 교육과정에서 대부분 음악 용어로 대체되었다. 음악 교과서 분석 결과 첫째, 음악 영역별 비율은 2008 음악 교과서와 2011 음악 교과서에서는 ‘감상’ 영역, 2015 음악 교과서에서는 ‘가창’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 활동 유형의 비율은 가창, 기악, 감상 영역 전반에 걸쳐 2008 음악 교과서에서는 ‘소리’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고,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에서는 ‘음악 개념 및 요소’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창작 영역에서는 ‘소리 만들기’와 ‘가사 바꾸기’ 활동이 주로 나타났으며, 생활화 영역에서는 전 교과서에서 ‘놀이’ 활동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 2008 음악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의 저학년 수준의 내용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는 ‘리듬, 형식, 빠르기, 셈여림’ 학습 내용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가락’과 ‘음색’ 학습에서는 학년별 연계 및 위계성이 불분명하게 나타났다. ‘화성’ 학습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고, 소리의 특성과 관련된 활동에서는 음악 개념과의 연계에서 지도상의 오류가 나타났다.
결론 특수학교 음악학습 내용의 범위와 수준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체계적인 교수·학습 연구가 요구된다. 교육과정의 흐름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제시한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의 음악 교육과정 개발과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집필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music education from the first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o the latest curriculum and provid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usic textbooks by each period.
Methods The analysis of music curriculums was focused on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changes in content; 11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music area and activity,” and “musical concept and element.” For music area and activity, the ratios of music area and activity type were ana-lyzed, and for musical concept and element, learning content and the grade hierarchy of learning cont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content and content composition of music curriculums have been organized the same as those of the general curriculums since the 2011 curriculum. Music element was suggested with a focus on “sound” in the 2008 and 2011 curriculums, but it was mostly replaced with musical terms in the 2015 and 2022 curriculums. First, in the textbook analysis for the ratio of music areas, the area of “appreciation” was the highest in the 2008 and 2011 music textbooks and the area of “singing” was the highest in 2015 music textbook. When it comes to the ratio of activity types, the activity related to “sound” was the highest across the areas of singing, instrument, and appreciation in the 2008 music textbook. In the 2011 and 2015 music textbooks, activity related to “musical concept and element” was the highest. In the area of creation, two activities, “making sounds” and “changing lyric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the area of daily life, the activity of “play” was the highest across all the textbook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usical concept and element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2008 music textbook was similar to the lower grades of other textbooks, and the 2011 and 2015 music textbooks had a similar level of learning contents on “rhythm, form, tempo, and dynamic”.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melody” and “timbre,” association and hierarchy between grades had no distinct differences, and “harmony” was not sug-gested in most of the textbooks. In activit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instructional errors were found in the association with musical concepts.
Conclusions The scope and level of music education content in special schools need to be improved; simulta-neously, research on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is required.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in music cur-riculum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music textbook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mu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for writing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특수교육에서의 음악교육의 의미
Ⅲ.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Ⅳ. 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