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이용수 96
- 영문명
- Research on the Ways of Application of Jeju 4·3 and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상희(Sang-Hee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19~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해외 과거사 문제 해결 사례를 분석하고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을 정책적 수준에서 제안하였다.
결과 해외 과거사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4·3 교육의 방향에 두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해외 과거사 청산은 시민의식의 수준에 비례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둘째, 과거사 교육은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4.3 유족들의 삶을 평화인권교육과 연계, 4·3을 통해 악의 평범성 예방과 선의 시민성 실천, 4·3에 담긴 평화, 인권의 가치를 사회 교육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4·3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론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에 4.3 당시 시민성을 발휘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긴 ‘시민의 길’ 을 조성하여 시민의 역할을 배울 수 있다. 둘째, 평화와 인권, 정의 등 세계시민교육으로서 4·3의 의미를 일상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 셋째. 4·3의 의미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문화로 확산할 수 있다. 넷째, 민관이 협력하는 4.3을 통해 공동체의 현안과제에 관심을 갖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ways of application of Jeju 4·3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historical reconciliation through overseas cases and proposes ap-plication of i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policy.
Results The analysis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overseas cases reveals two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Jeju 4·3 education. First, it is noteworthy that overseas historical reconciliation is closely tied to the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Second, history education should aim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Jeju 4·3 education can be emphasized as a tool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connecting the lives of Jeju 4·3 bereaved families with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preventing the banality of evil, taking action on citizenship of goodness, and expanding peace and the value of human rights in Jeju 4·3 into social educat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poses several ways to incorporate Jeju 4·3 in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 the role of citizens can be learned by designing ‘the road of citizen,’ which reflects the stories of people who showed citizenship during Jeju 4·3. Second, as a par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Jeju 4·3 can be spread into everyday life through the value of peace, human rights and justice. Third, this significance of Jeju 4·3 can be expanded into a culture of caring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Finally, pub-lic-private partnership through Jeju 4·3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pay attention to current community issues.
목차
Ⅰ. 서론
Ⅱ. 해외 과거사 문제 해결의 사례 비교
Ⅲ. 4·3과 세계시민교육
Ⅳ.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