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이용수 139

영문명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Divide of Low-Incom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소정(So-Jeong Choi) 김귀훈(Kwihoo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789~79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디지털 정보격차의 유형과 발생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의 전제조건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21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수집한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격차의 유형을 알아보고자 22개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 디지털 정보격차 유형별 원인 분석하기 위해 단계 선택(Stepwise) 방법을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저소득층 학생들의 가구 월평균 소득은 접근격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PC 및 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이 높고, 가구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PC 및 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성별이 여성인 경우 PC의 이용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학생들의 경우 디지털 기기의 기본 기능에 익숙함을 말하고 있으며 저소득층 학생들의 활용 격차에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저소득층 학생들의 디지털 정보격차의 유형은 기존 정보격차 연구에서 논의하였던 ‘접근격차’, ‘이용격차’ 그리고 ‘활용 격차’로 분류되어졌다. 이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경우에도 물리적 접근과 관련된 접근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며 디지털 기기와 네트워크에 접근 후 이용과 활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이용격차와 활용 격차는 디지털 교육환경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및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강화를 위한 디지털 교육 방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ypes and causes of the digital information gap among low- income students, identify prerequisites for resolving the digital information gap, and derive implications to help with subsequent research related to this. Methods Using the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romotion Agency in 2021, a factor analysis of 22 question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on gap, and a step-by-step selection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auses of each type of digital information ga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sults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low-income students was analyzed to affect the access ga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ability to use PCs and mobile devices, and the higher the household average monthly income, the relatively higher the ability to use PCs and mobile devic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women were less capable of using PCs. Additionally, students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 digital technology say they are familiar with the basic functions of digital devices, and the efficacy of using digital devices appears to have an impact on the gap in use of low-income students. Conclusions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on gap among low-incom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access gap’, ‘use gap’, and ‘utilization gap’, which were discussed in existing information gap research. This implies that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lso have access problems related to physical access and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ccessing and utilizing digital devices and networks. Moreover, the gap in use and utilization of low-income students was identified as containing problems caused by the absence of a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and as a way to resolve this, a digital education plan to strengthen attitudes toward digital technology and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can be expe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소정(So-Jeong Choi),김귀훈(Kwihoon Kim). (2024).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 789-797

MLA

최소정(So-Jeong Choi),김귀훈(Kwihoon Kim).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024): 789-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