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직장만족도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이용수 29

영문명
Latent Class Analysis of young people during school-work transition period, and the Effect of Relevant Fact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배선희 조연 손은령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485~49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직장 만족도 만족유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직장만족도 유형 분석을 위해 직장만족도에 대한 응답 패턴에 따라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들을 몇개의 최적화된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지 탐색 후 개인 특성요인인 성별, 자기개념, 행복, 삶의 만족도, 삶의 결정자유와 사회 특성요인인 일의 가치판단, 사회적 지위 등 변인이 유형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5차년도학교-직장 이행기 청년 중 주된 직장에서 임금근로자로 있는 2672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계층 분석의 3단계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직장만족도에 대한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은 4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높은 직장만족도’, ‘중간 직장만족도’, ‘낮은 직장만족도’, ‘매우 높은 직장만족도’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계층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자기개념 중 잘하는 일과 좋아하는 일, 자기 일에 대한 가치평가, 현재 사회적 지위에 대한 변인이 높을수록유의미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직장만족도를 고려하여 분류된 집단의 특징을 확인하고 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개인내적 특성과 사회적 인식에 평가를 확인하고 유형을 고려한 진로만족도 증가를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that affect young people during the school-work transition period.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type of job satisfaction of school-work transition young people, we explored how many optimized types of school-work transition young peopl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response pattern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gender, self-concept, happiness, life satisfaction, freedom of life and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work value judgment and social status on type classification. To this end, a three-step approach to potential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672 young people in the fifth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KEEP) who are wage workers in their main job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during the school-work transition period for job satisfac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potential classes, which were named “high job satisfaction,” “medium job satisfaction,” “low job satisfaction,” and “very high job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variables of self-concept, good and favorite work, value evaluation of one's work, and current social status, the more significant the impac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during the student-job transition period and exploring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group class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선희,조연,손은령. (2023).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직장만족도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4), 485-498

MLA

배선희,조연,손은령.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직장만족도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4(2023): 485-4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