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특수교사 직무만족도 척도의 구성 요인 타당화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pecial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성용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217~22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에 대한 문항의 구성 요인 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 특수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노종희(2001)가 개발한 직무만족도 척도에 응답하게 하였고,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모형 적합성과 집중타당성 그리고 판별타당성 검증이다. 타당화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서 SPSS Statistics 프로그램(25.0)과 AMOS(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최종 직무만족도 척도는 4개 요인(동료애: 4문항, 업무부담: 2문항, 혁신성: 4문항, 교직의식: 4문항)으로 구성된 총 14문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 적합성에서도 대부분 양호한 것(χ2/(df) =1.372 < 2, RMR .018, GFI .941, AGFI .912, NFI .954, IFI .987, CFI .987, RESEA .042)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종 직무만족도 척도의 문항 내적 신뢰도는 전체 .867로 높았고, 하위 영역(동료애: .935, 업무부담: .858, 혁신성: .858, 교직의식: .908)에서도 높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 및 그 결과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item on the job satisfaction scale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teachers. Methods 214 elementary school special teacher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Job Satisfaction Inventory developed by Roh, Jong-hee(2001). Next,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conducted. CFA is model suit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MOS program were used for valid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First, a total of 14 questions consisting of 4 factors(fellowship, work(burden), innovation, teaching consciousness) were found to be valid for the final job satisfaction scale. Second, most of the model suitability(χ2/(df)=1.372 < 2, RMR .018, GFI .941, AGFI .912, NFI .954, IFI .987, CFI .987, RESEA .042) was also found to be good. Third,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item on the final scale was high at .867(fellowship .935, work(burden) .858, innovation .858, teaching consciousness .908).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teachers in the future and the use of the result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용. (2023).초등 특수교사 직무만족도 척도의 구성 요인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4), 217-224

MLA

이성용. "초등 특수교사 직무만족도 척도의 구성 요인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4(2023): 217-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