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정형 빅데이터를 통해 본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시기별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이용수 75

영문명
Social awar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by period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through unstructured big dat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한아 이정은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173~18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1차에서 4차까지의 시행시기에 따른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구강건강증진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구강 +교육’ 키워드 검색을 통해 네이버, 다음, 구글, 유튜브, 트위터에 올라온 텍스트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자료의 수집을 위한 기간 설정은 1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이 시작된 2002년 1월 1일부터 4차 계획이 마무리된 2020년12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전처리 후 각 시기별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추출해 빈도분석하였다. 또한 각 시기별 키워드의의미연결망 구조적 특징을 확인하였고, 중심성 분석과 QAP 상관분석 및 동시출현 단어분석(Co-Occurre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시기에 따라 핵심 키워드의 우선순위에 변화가 나타났다. 3차 시기 이후 ‘교육’과 ‘건강’의 빈도가증가하였고 ‘초등학교’보다 ‘보건소’의 빈도와 연결중심성 및 위세중심성이 증가하였다. 각 시기별 상관계수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동시출현 빈도의 분석 결과, 1, 2, 3차 시기에는 ‘보건→교육’이 높게 나타난 반면, 4차 시기에는 ‘교육→실시’가 높게나타났다. 결론 구강보건 관련 정책의 영향이 구강보건교육 관련 사회적 인식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각 시기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나타나면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각 시행시기에 따른 국민의 인식 수준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국민의 구강교육 필요성에 대한인식 수준에 비해 교육이 실시 수준이 낮아 향후 보다 보편적인 구강보건교육의 실시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future oral health promotion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We analyze changes in social awar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from the 1st to the 4th National Health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texts posted on Naver, Daum, Google, YouTube, and Twitter through a keyword search of ‘oral + education’. The period for collecting data was from January 1, 2002, when the 1st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 began, to December 31, 2020, when the 4th plan was completed. The frequencies of top 30 keyword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mantic network of keywords in each period were confirmed, and centrality analysis, QAP correlation analysis, and co-occurrence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ere changes in the priorities of key keywords depending on the timing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After the third period, the frequency of ‘education’ and ‘health’ increased, and the frequency, centrality degree, and eigne-vector degree of ‘public health center’ increased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perio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health→education’ appeared highly in the 1st, 2nd, and 3rd periods, while ‘education→implementation’ appeared highly in the 4th period. Conclusions The impact of oral health policies was reflected in social awareness related to oral health education. However, as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period was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The level of education implementation is low compared to the public's awareness of the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so efforts are needed to implement more universal oral health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한아,이정은. (2023).비정형 빅데이터를 통해 본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시기별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4), 173-185

MLA

조한아,이정은. "비정형 빅데이터를 통해 본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시기별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4(2023): 173-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