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 감상활동내 타교과와의 연계 활동 분석 연구를 통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 방향
이용수 28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Textbook by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Activities with Other Subjects in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미숙(Misook Kim) 김재희(JaeHyee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89집, 23~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서양 음악사 감상 제재곡을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 연계된 활동을 분석하여 2022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4종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 곡 중 서양 음악사를 중심 으로 다른 과목과의 연계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교과서마다 감상 제재곡의 빈도수에서 많은 편차가 나타났기 때문에 다른 교과와의 연계된 활동 구성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른 교과와의 연계는 국어, 체육, 미술, 사회, 과학 등 5개의 교과와 연계된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5개 교과 중 국어 교과와의 연계 활동이 헌저하게 많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감상 제재곡과 그에 따른 다양한 교과와 연계된 활동을 구성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과목 간의 연계학습을 강조하여 균형 있게 교과서가 개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s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by analyzing activities linked to other subjects, focusing on the Western music history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study, among the 14 music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e contents of linkage with other subjects were analyzed, focusing on Western music history.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frequency of appreciation music peices for each textbook, so there was no choice but to show a difference in the class activities linked to other subjects. In addition, activities linked to Korean subjects out of the five subjects consisted of activities linked to Korean subjects, including Korean, physical education, art, social studies, and sc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specific guidelines and linked learning between subjects so that textbooks can be developed in a balanced manner so that activities linked to various subjects can be organiz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과서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