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복합양식 리터러시 연구

이용수 82

영문명
A study of multimodal literacy as a new paradigm for English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한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499~52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복합양식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어교육 상황에 적합한 영어과 복합양식 의사소통능력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학교교육에 구현하기 위한 수업, 교재, 평가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Royce(2002, 2007)의 복합양식 의사소통능력(Multimodal Communicative Competence, MCC)의 개념을 바탕으로 학교교육의 관점에서 적용 가능한 MCC의 하위 능력 요소를 Canale과 Swain(1980), Byram(1997), Coccetta (2018) 등의 이론을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결과 그 결과, MCC를 구성하는 하위 능력 범주로 ‘언어 능력,’ ‘담화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복합양식 능력’을 추출하였고, 이 중에서 ‘복합양식 능력’을 구성하는 요소를 현행 역량교육의 관점을 반영하여 ‘태도,’ ‘지식,’ ‘이해 기능—보기,’ ‘표현 기능—제시하기,’ ‘복합양식 리터러시’의 다섯 단계 요소로 확립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제시된 복합양식 리터러시 개념 및 그에 따른 보기와 제시하기 기능에 대한검토를 바탕으로 기존의 언어 중심 영어과 의사소통능력 모형을 확대⋅적용한 영어과 복합양식 의사소통능력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학교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수업, 교재, 평가 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능력 배양이라는 영어교육의 목표에서그동안 경시되었던 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식에 대한 교육을 보완함으로써 학습자의 실질적인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multimodal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review of multimodal literacy theories and suggests instruction,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to implement the model in the school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reviewed the theories of Canale and Swain (1980), Byram (1997), and Coccetta (2018) to select sub-competency elements that are applicable from a school curriculum perspective, based on Royce's (2002, 2007) concept of multimodal communicative competence (MCC). Results The study extracted four sub-competency categories that constitute MCC: linguistic competence, discourse competence, sociolinguistic competence, and multimodal competence, and set up five stages of elements to constitute multimodal competence, considering the current perspective of competency education: attitude, knowledge, receptive skills—viewing, productive skills—presenting, and multimodal literacy.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 multimodal communicative competence model and its sub-competency elements that expand the traditional language-centered communicative competence model for English education by including non-verbal communicative modes from a school curriculum perspec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by complementing the learning of non-verbal communicative modes,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the practice of English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영어과 복합양식 의사소통능력 모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한. (2023).영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복합양식 리터러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4), 499-520

MLA

김경한. "영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복합양식 리터러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4(2023): 499-5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