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CS 의사소통능력 하위 요소의 교육 우선순위에 대한 AHP 분석

이용수 14

영문명
The AHP analysis of Vocational Teachers’ NCS communication competenc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민정(Kim Min Jeong) 박영민(Park Young M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4호, 845~86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상생활 뿐 아니라 성공적인 직업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NCS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 우선순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NCS 의사소통능력 중 기초외국어능력을 제외하고 4개 하위 요소(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간과 각 하위 요소 내 세부 요소 간 교육 우선순위를 살펴보기 위해 AHP 분석을 활용하였다. 2018년 7월 21일, 다양한 연수 혹은 관련 사업 등에 참여하여 전문가로 판단되는 전문교과 교사 총 88명의 서면을 통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응답 중 일관성 비율이 0.1 이하로 나타난 유효 응답을 분석하였다. 먼저 하위 요소 간 교육 우선순위 분석 결과 ‘문서작성능력’이 1순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하위 요소별 세부 요소 간 분석 결과는 고등학교 졸업자 수준의 성취수준과 일치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각하위 요소별로 ‘문서 정보 확인 및 획득’, ‘작성한 문서의 정보 확인 및 조직’, ‘음성정보와 매체정보 듣기’, ‘목적과 상황에 맞는 조직 정보’가 1순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해당 역량은 직무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고등학생 졸업자라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직업교육 교육 내용 구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이후 다양한 직업교육 분야, 수준에서 활동하는 주체를 대상으로 한 폭넓은 연구를 통해 학생이 변화하는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proposed to analyze an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of NCS communicative competence using AHP analysis.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88 vocational teachers. Among the subjects, it analyzed the responses with a consistency ratio of 0.1 or less. First, ‘writing ability’ was derived as the most important ability among sub-abilities. Second, the result of priorities for each educational element of sub-abilities are as follow: ‘Confirmation and acquisition of document information’, ‘Confirmation and organization of written document information’, ‘Listening to voice information and media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uited to purpose and situ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s elements of sub-abiliti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ituting vocational education contents in the future.Since then, it has been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improve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a changing career world through a wide range of research on subjects in various vocational education fields and levels. Methods To this end, a problem-oriented learning (PBL)-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designed through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a total of 16 problem-oriented learning (PBL)-based elementary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Softwa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experts were reviewed for the developed program, and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30 students in 1 class in 5th grade of M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effectiveness of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problem-based learning-based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program-applied pre- and post-test papers throug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of SPSS Statistics. Results The average value increased in all areas of problem-solving ability recogni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alysis, diffusion thinking, decision-making, planning, execution and risk-taking, evaluation, and feedback,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significance level standar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and interviews of student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AI education was necessary, interested, and useful, and helped improve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hoices related to AI.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BL-based elementary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problem-solving skill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fifth grader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follow-up stud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various grades, school forms, and convergence with subjec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Kim Min Jeong),박영민(Park Young Min). (2019).NCS 의사소통능력 하위 요소의 교육 우선순위에 대한 AHP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4), 845-862

MLA

김민정(Kim Min Jeong),박영민(Park Young Min). "NCS 의사소통능력 하위 요소의 교육 우선순위에 대한 AHP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2019): 845-8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