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의 폐허화와 산책자로서 순례의 장소성 실험: 기억의 지속성과 학습자의 유폐된 열정의 가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158

영문명
Experiment on the Placement of Pilgrimage as the Stroller and Deterioration of Education: Focused on the Mobilization of Deserted Passion of Learners and Persistence of Memor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소희(Kim, So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4호, 1277~131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속화의 속도로서 치열한 경쟁하는 감각으로만 내몰아가는 액체근대 교육은 폐허화의 분위기를 더욱 깊게 드리우고 있다. 오늘날 대학에서 상대평가는 배치의 심판권을 장악하는 신과 같은 권력으로 전 교육을 장악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교육에서 함께 하는 감각을 봉쇄하고, 학습자에게 내적세계의 차단으로 정서의 여과업는 끊임없는 질시와 경쟁이 만연화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학습자는 실패자의 스티그마로 새겨지며 동시에 잠재력의 소진과 내면의 공허를 가져오고 있다. 더 나아가 권태와 공포, 불안의 유착된 탈출구 없는 맴돌이구조는 학습자들에게 가두어져 벗어나려는 학습자의 열망까지 차단하며 봉합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학습자의 내면의 공허와 소진을 가져오며, 죄의식의 중압감으로 학습자의 감각을 왜곡하고 교란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점은 교육의 폐허는 연쇄적으로 사회의 분노와 질시를 양산하는 감각파장으로 확장하고 침윤하는데 있다. 무엇보다도 교육의 폐허화 분위기의 심각성은 학습자의 성장에서 평가에 구속되지 않는 무규정성의 영역이 존재하며, 함께 살아가는 세계의 아름다움을 외면하는데 있다. 순례의 여정에서 학습자는 장소 성의 실험인 자신의 존재의미를 되찾는 모자이크의 퍼즐맞추기 가동을 하며, 치열한 열정의 성취도는 열린 평가로서 배려와 인준이 중요하다. 이러할 때만이 학습자는 시간과 기억의 편린을 새롭게 회통하며,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사건의 교육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liquid modern education driving only toward the sense of fierce competition becoming accelerated has been casting the mood of deterioration. At present, the relative evaluation in colleges has been securing the educational supremacy by the power like a god holding the authority to judge the allocation. Such mood blocks the sense of joining in education and spreads ceaseless jealousy and competition among learners by cutting off their inner world. In such a mood, the learners have been inscribing the stigma of a loser and feeling the exhaustion of their potentiality and inner emptiness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the treadwheel structure tightly held by dread, anxiety and weariness without any exit is blocking and sealing even the desperate passion of learners who are eager to escape from where they are locked up. Such a mood causes the inner emptiness and exhaustion of learners and distorts and disturbs the sense of learners through the oppressive feeling of being guilty. What is more serious is that the deterioration of education consecutively expands and spreads through the wavelength of sense mass-producing the anger and jealousy of a society. The deteriorating mood of education ignores the existence of sphere where the growth of learners is not bound to evaluation and the beauty of the world where everyone exists in harmony. At the critical moment of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passion of learners are not only when the the requirements above are satisfied, learners can newly put the pieces of time and memory together and education can be reborn as the education of event restoring the lost time.

목차

Ⅰ. 교육의 폐허화로서 화재경보
Ⅱ. 폐허의 분위기:
권태를 벗어날 수 없는 폐쇄회로의 맴돌이구조
Ⅲ. 산책자로서 모자이크의 퍼즐맞추기 가동:
‘레이다 인간’의 문학적 몽타주의 형상화
Ⅳ. 열린 결론: 교육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순례의 의미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희(Kim, Sohee). (2019).교육의 폐허화와 산책자로서 순례의 장소성 실험: 기억의 지속성과 학습자의 유폐된 열정의 가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4), 1277-1311

MLA

김소희(Kim, Sohee). "교육의 폐허화와 산책자로서 순례의 장소성 실험: 기억의 지속성과 학습자의 유폐된 열정의 가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2019): 1277-13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