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교육에서 디지털 기반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의 적용과 효과

이용수 230

영문명
Application and Effect of Digital-based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Learning in Secondary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유진 김수인 우선영 임병노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631~65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지역이라는 학습자들의 실제 삶이 영위되는 공간을 교육과 연계하여 개발한 디지털 기반의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 프로그램이 참여적 학습의 주요 학습 요소인 연결, 협력, 창작, 순환, 디지털 테크놀로지 측면에서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한 중학교의 6개 학급, 17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8차시에 걸쳐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질적 자료(성찰일지, 인터뷰, 학습 결과물, 관찰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자의 자원 및 관계 확장(연결)’, ‘서로에게 배우는 공동학습의 과정(협력)’, ‘도전, 실패, 실험적 시도를 반복하는 과정(창작)’, ‘학습 경험의 공유와 지역 참여 기회(순환)’, ‘참여를 위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을 경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질적 연구의 결과,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의 특징과 학습자에 미치는 효과를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었고 디지털 기반의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 프로그램이 미래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모델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gital-based,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learning program which is related to the real life space of learners in their region and to examine whether it has an effect in depth in terms of connection, collaboration, creation, circulation, and digital technology, which are the main learning elements of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a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over 8 sessions for 172 students in 6 classe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various qualitative data (reflection journal, in-depth interview, learning results, observation journ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rough participation in a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Learning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experienced ‘the expansion of resources and relationships (connection)’, ‘the process of learning from each other (collaboration)’, ‘the process of repeating challenges, failures, and experimental attempts (creation)’, ‘sharing of learning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circulation)’ and ‘using of digital technology for participation’.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qualitative study, it was possible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learning and its effects on learners, and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based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learning program is an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futur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유진,김수인,우선영,임병노. (2022).중등교육에서 디지털 기반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의 적용과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0), 631-651

MLA

정유진,김수인,우선영,임병노. "중등교육에서 디지털 기반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의 적용과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0(2022): 631-6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