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082

영문명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ex Education Program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선영 전효정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127~14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교육연구가 도입된 2001년부터 2021년까지 성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진행 현황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방법 학술지 정보제공 서비스 RISS와 DBpia를 활용하여 핵심키워드 성교육 외 성교육 관련 40개 검색키워드로 검색하여 학술지 총 65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학술지는 연도별(2001년~2021년), 대상별(부모, 자녀(비장애⋅장애), 영유아, 초등학생, 청소년(중⋅고), 대학생(청년), 성인) 및 프로그램별(미디어 리터워시&멀티미디어 시청, 모듈형&디자인 설계, 통합활동(음악⋅미술⋅연극), 관찰&면담법, 학교 성교육지침서&강의식 수업, NVC, 사이버 커뮤니티, 집단형, 사례형, 체험형, 코칭형)로 구분하였으며, 효과측정도구별(성가치관, 성개념, 성역할, 성의식, 성인지,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성의사소통, 부모효능감, 성윤리, 성적자율성)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측정도구는 SPSS Win 21.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다중응답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1년부터 2021년까지 성교육프로그램은 평균 11.12%로 꾸준히 개발 및 진행되어왔으며 2020년 7편(10.8%)으로 가장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전체 케이스 퍼센트 442.6%로 영유아대상 4.5%에 비해 청소년 대상 54.5%(중학생 남학생 45.9%⋅여학생 44.3%)로 가장 높았다. 프로그램별 연구는 강의⋅토론⋅비디오시청⋅역할극⋅시나리오⋅집단발표⋅VTR⋅사례연구들로 이루어졌으며, 학교지침서를 활용한 강의식 수업 활용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효과 측정도구는 전체 케이스 퍼센트 172.3%이며, 성적자율성, 성 의사소통 측정은 각각 1.5%로 였으며, 성 지식 효과측정은 72.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후 성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진행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기초자료로 제시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sex education programs from 2001 to 2021, when sex education research was introduced. Methods Using RISS and DBpia, a total of 65 journals were selected by year (2001-2021), parents, children (non-disabled), infa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youth), college students, and programs (media wash & multi-disciplinary instructional guidelines, school/multi-disciplinary instructional guidelines, N-graphic guidelines, integratedIt was categorized into proficiency, sexual ethics, and sexual autonomy. The measurement tool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s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2001 to 2021, sex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steadily developed and carried out with an average of 11.12%, and the most developed programs were 7 (10.8%) in 2020.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42.6% of all cases, the highest at 54.5% (45.9% for middle school boys and 44.3% for female students), compared to 4.5% for infants and toddlers. Research by program consisted of lectures, discussions, video viewing, role plays, scenarios, group presentations, VTRs, and case studies, and the use of lecture-style classes using school guidelines was the most common. The program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was 172.3% of the total cases, 1.5% of sexual autonomy and sexual communication measurements, and 72.3% of sexual knowledge effect measureme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be presented as basic data to supplement the deficiencies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sex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선영,전효정. (2022).성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0), 127-140

MLA

고선영,전효정. "성교육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0(2022): 12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