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 탄력성(resilience) 척도 개발 연구

이용수 294

영문명
Development of Resilien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명성 유형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1077~109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 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검토와 초등학교 교사 면담을 통해 기초문항을 작성한 후 전문가 검토를 통해 예비도구를 구성하였다. 예비도구를 가지고 초등학생 3~6학년 184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탄력성의 요인 구조를 파악하였다. 그 후 요인 구조가 파악된 문항으로 263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시행하여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신뢰도 및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 24문항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등학생 탄력성 척도는 2차원 8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 내적 특성 차원은 자기효능감, 긍정성, 주도성, 도움 요청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외적 보호요인 차원은 교사의 지지, 또래의 지지, 부모의 지지, 사회적 유대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모형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TLII .918, CFI .928, 그리고 RMSEA는 .054로 나타나 모두 기준을 충족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확인 결과 Cronbach’s α 값은 .692에서 .868의 범위에 있었고, 전체 Cronbach’s α 값은 .915로 높게 나타나 안정적인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척도와 학령후기 아동 학교 적응 척도와는 .711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척도와는 -.501의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공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탄력성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3단계 규준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인 내적 특성과 외적 보호요인을 모두 포함하는 도구로써 개발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과학적인 절차에 따라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초등학생 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 있는 척도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만들어진 척도는 탄력성 연구에 기여하고, 교육이나 상담 분야에서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resilience measur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First, basic items were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n preliminary tool were constructed through expert review about basic items. And then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8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3rd~6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resilience. After that,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263 students with the items that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confirmed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survey results. In addition, reliability and official validity were checked for a scale of final 24 item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ilience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nd to be two-dimensional 8 factors. There are four factors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positiveness, initiative, and request for help. There are four factors in the dimension of external protection factors: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parental support, and social tie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odel fit, TLI was .918, CFI was .928, and RMSEA was .054, all of model fits satisfy the criteria.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liability, factor’s Cronbach's α was in the range of .692 to .868, and the overall Cronbach's α was as high as .915. Confirming the official validity of the test, It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of .711 between this scale and the school adaptation scale for late-school-age children, and a negative correlation of -.501 with the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scale.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ree-step criteria to confirm the level of resilienc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veloped and validated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lience scale involving personal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a reliable scale by developing the scale through a scientific procedure.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will contribute to resilience research and be used as useful for elementary studen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성,유형근. (2022).초등학생 탄력성(resilience) 척도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0), 1077-1092

MLA

이명성,유형근. "초등학생 탄력성(resilience) 척도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0(2022): 1077-10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