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시기를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

이용수 152

영문명
The Life Experience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Art-Based Narrative Inquir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구혜진 김갑숙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19~4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예술기반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40대 후반의 여성으로 초등학교 방과 후 강사이며,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 동안 미술작업을 병행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면담내용과 관찰, 현장 노트, 연구 일지, 미술작품 등을 현장 텍스트로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현장텍스트를 바탕으로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의미하는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염두에 두고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나타난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 이야기는 ‘전업주부에서 세상 밖으로 나오다’, ‘방과 후 강사의 명암(明暗)’, ‘코로나보다 실직이 더 무서워요’, ‘또 다른 준비’의 4가지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의 의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과 후 강사로 사는 이유’, ‘위기는 기회가 되어 나를 성장 시키다’, ‘그림은 공감과 소통의 공간이 되다’로 3가지로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시기를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을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연구결과를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을 마주하며, 자신과 일에 대한 정체성을 찾아나갔다. 둘째, 그림과 미술작업 경험은 소통과 관계 확장의 새로운 연결고리가 되었고, 연구자의 반응작업은 공감의 도구로서 가치가 있었다. 셋째, 방과 후 강사의 고용 불안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life experiences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living in a social crisis situa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 the meanings of the life experiences. The participant was a woman in her late 40s working as an after-school instructor at an elementary school.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or about 3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0, and the collected field texts included interview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art making activities, observations, field notes, the researcher's journal, and artwork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oposed. Based on the field texts, research texts were construct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narrative inquiry framework consisting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fe experience stories of the participant, four themes of the stor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Leaving the life as a full-time housewife to step out into the world’, ‘The light and shadows in the life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Anxiety about job loss haunts me more than the fear of the coronavirus’, and ‘Another process of preparations to start afresh.’ Based on them, three meanings of the lif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 were derived as follows: ‘Reasons I live as an after-school instructor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A crisis turned into an opportunity for my growth’, and ‘Paintings have become a space for empathy and communi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meanings of the life experiences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liv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were derived in the contexts of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justifications. First,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explored their identities and the meanings of their work through confronting the life of an after-school instructor. Second, the experiences of painting pictures and art making became a new link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xpansion, and the responsive art of the researcher was found to have a value as a tool for empathy.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realiz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social support system to address the problem of employment instability of after-school instruc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혜진,김갑숙. (2022).코로나19 시기를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0), 19-40

MLA

구혜진,김갑숙. "코로나19 시기를 살아가는 방과 후 강사의 삶의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0(2022): 19-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