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대형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습실재감 군집유형에 따른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차이

이용수 404

영문명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cluster type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presence in online large liberal arts class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성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707~72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대부분의 대학교양 수업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된 후에 시행된 심리학 관련 온라인 대형 교양수업에서 학습실재감 군집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A대학에서 운영된 실시간 온라인 심리학 관련 대형 교양수업을 수강한 2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108명이 응답을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자기주도학습능력 군집유형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및 하위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군집분석 및 일원분산분석(ANOVA)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에 따른 군집은 ‘학습실재감 고집단’, ‘학습실재감 저집단’, ‘사회적 실재감 집단’, ‘인지 및 감성적 실재감 집단’으로 4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이러한 군집에 따른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및 하위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실재감 고집단과 인지 및 감성적 실재감 집단이 학습실재감 저집단과 사회적 실재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코로나19라는 외부적 요인으로 일반 대학에서 대응차원에서 마련된 실시간 온라인 교양수업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대학생의 학습실재감 유형에 따른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차이를 검증한 것에 의의를 가지며, 이를 기반으로 대학의 온라인 교양수업에서 고려해야할 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presence cluster in larg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related to psychology, which were conducted after most university education classes were converted to online classes after COVID-19.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68 people who took a real-time online psychology-related liberal arts class operated by University A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108 of them responded. For data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ere performed with cluster type of learning pres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As for the clusters according to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four clusters were found: ‘high learning presence group’, ‘low learning presence group’, ‘social presence group’, and ‘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learning outcomes, and sub-factors according to these clusters, it was found that the groups with the high learning presence group 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 group were higher than the groups with the low learning presence and the group with social presenc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real-time online liberal arts classes prepar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factor of COVID-19,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verifying the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presence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 in online class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희. (2022).온라인 대형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습실재감 군집유형에 따른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7), 707-720

MLA

박성희. "온라인 대형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습실재감 군집유형에 따른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7(2022): 707-7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