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6

영문명
The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arenting Anxiety of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애선 정여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489~5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49명을 대상으로 애착 불안 척도, 애착 회피 척도, 양육 불안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자기자비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의 통계분석은 SPSS 22.0 및 Amos 2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양육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애착 불안과 양육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 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와 양육 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자기자비가 매개역할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양육 불안과 관련된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증거를 마련하였으며, 양육 불안을 치료하는 상담 실제에서의 효과적인 치료적 가설과 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on the effects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arenting Anxiety.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Attachment Anxiety Scale, Attachment Avoidance Scale, Parenting Anxiety Scale, Perceived spouse support scale, and self-compassion scale from 349 mothers with children in childhoo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pouse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anxiety was confirm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arenting anxiety. Third, in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arenting anxiety, the perceived double medi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and self-compassion was confirmed. Conclusion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Anxiety, theoretical and empirical evidence was prepar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lated to Parenting Anxiety, and counseling to treat Parenting Anxie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for effective therapeutic hypotheses and interventions in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애선,정여주. (2022).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7), 489-508

MLA

이애선,정여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7(2022): 489-5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