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등학생의 학습동기 수준별 학업성취, 원격수업 경험 및 만족의 차이

이용수 781

영문명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Distance Learn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by Level of Learning Motiv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Korean and Mat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서봉언 정미선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341~36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국어 및 수학 학습동기에 따른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학습동기 집단별 학업성취와 2020년 원격수업의 경험 및 수업만족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분석 대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생 및 고등학생 데이터로 10,653명의 중학생과 10,528명의 고등학생이 응답한 자료이다. 자료처리는 SPSS와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Mpl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어 및 수학 학습동기에 따른 잠재집단을 추출해 각 잠재집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중⋅고등학생의 학습동기 집단은 국어는 상, 중, 하 3 집단, 수학은 상, 중상, 중하, 하 4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집단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국어 및 수학 학습동기가 높은 집단이 국어 및 수학 성취가 높았다. 학교급 변화를 살펴보면 국어 학습동기는 점차 증가하지만 국어 성취는 감소하며, 수학 학습동기는 점차 감소하지만 성취는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학습동기 집단별 2020년 경험한 원격수업의 환경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어 및 수학 학습동기가 높은 집단이 원격수업의 불리한 영향력이 최소인 집단으로 나타나 학습동기로 인한 학습격차 발생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국어 및 수학 학습동기 수준에 따라 원격수업 만족에 차이가 있었으며, 다른 항목에 비해 피드백과 의사소통 항목에서 낮은 만족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중⋅고등학생의 국어와 수학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는 밀접한 관련이 있어 교과 간 융합 수업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또한 높은 학습동기를 지닌 집단이 원격수업의 불리한 영향력이 최소인 집단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교과별 학습동기 향상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 learning motivation of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in 2020 by learning motive groups. Methods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data of 10,653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528 high school students responding to the 「202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Jamovi programs, the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and math learning motivation were extracted using the Mplus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he learning motivation group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as upper, middle, and lower 3 groups in Korean, and upper, middle-high, middle-low, and lower 4 groups in mathemati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group with high motivation for Korean and math had good Korean and math achievement. Looking at the changes in school level, Korean learning motivation gradually increased, but Korean language achievement decreased, and math learning motivation gradually decreased, but achievement tended to increa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nvironmental differences in distance learning experienced in 2020 by the learning motivation group, the group with high Korean and math learning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the least negative influence of distance learning,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learning gap.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distance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motivation, and lower satisfaction with feedback and communication was shown compared to other items. Conclusion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Korean and mathematic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closely related,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classes between subjects. In addition, the group with high learning motivation appears to be the group that minimizes the unfavorable influence of distance learning, requiring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for each subj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봉언,정미선. (2022).중⋅고등학생의 학습동기 수준별 학업성취, 원격수업 경험 및 만족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7), 341-361

MLA

서봉언,정미선. "중⋅고등학생의 학습동기 수준별 학업성취, 원격수업 경험 및 만족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7(2022): 341-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