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느 하녀의 일기〉의 영화 각색과 ‘무엇’의 문제

이용수 111

영문명
A Movie Adaptation of Le Journal d’une femme de chambre and the Problem of “What”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노시훈(Noh Shih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2호, 421~43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옥타브 미르보의 소설 <어느 하녀의 일기>를 각색한 루이스 부뉴엘과 브누아 자코의 동명영화 비교를 통해 각색에 있어 소설과 영화라는 매체의 서로 다른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색에 있어 발생하는 삭제와 첨가, 기호 전환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영화의 상영시간 제한으로 소설의 영화화 과정에서는 삭제와 사건 등장인물 선별이 불가피하다. 부뉴엘의 1964년작은 공간적 배경 축소, 회상 생략을통해 사건 삭제와 등장인물 줄이기를 선택한 반면, 자코의 2015년작은 원작의 풍부함을 위해 회상을 포함한 사건과 인물의 최대한 수용을 선택한다. 삭제는 원작의 흐름을 한 데 응축함으로써 관객의 주의가 그것에 집중되게 하는 장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각색에서 또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첨가의 예로는 두 각색 영화의 의상과 소품(시각적 추가), 자코의 영화의 사운드트랙(청각적 추가)을 들 수 있다(부뉴엘의 영화는 음악을 추가하지 않는다). 또한 소설을 영화로 각색할 때는 후자의 매체의 고유한 관습, 문법, 통사론 때문에 기호 전환이 불가피하다. 묘사에서 시각 이미지로의 전환에 있어 부뉴엘과 자코의 영화는 원작의 문자로 된 많은 묘사를 시각 이미지로 전환하여 묘사되는 대상을 뚜렷하게 한다. 서술에서 행위로의 전환에 있어 부뉴엘의 영화는 사건의 긴 서술을 등장인물의 직접적인 행위로 압축하여 제시하며, 자코의 영화는 사건으로 인한 등장인물의 상황에 대한 상세한 서술을 그의 행위로 대체한다. 생각에서 발화로의 전환에 있어 두 영화에서는 원작에서 이어지는 긴 생각을 짧은 대사로 압축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세 전환의 공통점은 축약과 경제성이지만, 이 전환을 통해 각색 영화는 표현 방식을 바꿈으로써 원작의 수용을 더 풍부하게 해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f novel and film in the adaptation by comparing the films of the same name by Luis Buñuel and Benoît Jacquot, an adaptation of Octave Mirbeau s novel Le journal d’une femme de chambre.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pattern of deletion, addition, and transcoding occurring in the adaptation was analyzed. Due to the limited running time of movies, deletion and selection of events and characters are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making a novel into a movie. Whereas Buñuel’s 1964 work chose to delete events and reduce characters by reducing spatial background and omitting flashbacks, Jacquot’s 2015 film chose to maximize the acceptance of events, including flashbacks, and characters for the richness of the original. The deletion also shows the advantage of condensing the flow of the original work to focus the audience’s attention on it. Examples of additions that must also be made in the adaptation are the costumes and props of the two adaptations (visual additions), and the soundtrack of Jacquot’s film (auditory additions) (Buñuel’s film does not add music). Also, when a novel is adapted into a film, the transcoding is inevitable because of the unique conventions, grammar, and syntax of the latter medium. In the transition from description to visual image, Buñuel and Jacquot’s film transforms many of the original textual descriptions into visual images to clarify the object being portrayed. In the transition from narration to action, Buñuel’s film presents a long narration of events condensed into direct actions of the characters, while Jacquot s film replac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situations resulting from the events with his actions. In the transition from thought to speech, the two films express long thoughts of the original by condensing them into short lines. Although these three transitions have in common the contraction and economy, through these transitions, the adaptation of the film changes the way of expression, thereby enriching the acceptance of the original.

목차

1. 서론
2. 원작의 내용과 그 변형
3. 삭제와 첨가
4. 기호 전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시훈(Noh Shihun). (2022).〈어느 하녀의 일기〉의 영화 각색과 ‘무엇’의 문제. 문화와융합, 44 (2), 421-438

MLA

노시훈(Noh Shihun). "〈어느 하녀의 일기〉의 영화 각색과 ‘무엇’의 문제." 문화와융합, 44.2(2022): 421-4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