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영역 및 지표 구성에 관한 탐색 연구

이용수 608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struct of Areas and Indicato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Focusing on the Content Validity Using Delphi Metho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화록(Kim Hwa Rok) 김보현(Kim Bo Hyun) 구광현(Koo Kwang 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743~76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놀이지원역량의 영역 및 지표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3개 영역, 7개 하위요인, 92개 문항으로 1차 지표를 구성하고 2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학계전문가 5명, 실무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2차 델파이 조사는 학계전문가 5명, 실무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1차,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놀이지원 역량 영역 및 지표의 내용타당도를 탐색해본 결과 인지적 역량은 놀이지원 지식(5문항), 놀이지원 기술(6문항)의 총 11문항으로, 정의적 역량은 놀이지원 신념(5문항), 놀이지원 감수성(5문항)의 총 10문항, 실천적 역량은 놀이지원 계획(5문항), 놀이지원 실행(6문항), 놀이지원 평가(5문항)의 총 16문항으로 최종 지표가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지표는 내용타당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이후 심도 있는 이론적인 논의를 통해 측정 지표를 영역별로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reas and indicators of play support competency that can evaluat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the first draft, which consists of 3 domains, 7 sub-factors, and 92 questions,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es and expert review, and then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5 academic experts and 8 practical experts. As the result of the first survey, the second draft was composed and was followed by the second Delphi survey conducted targeting 5 academic experts and 20 practical experts. Results Through the methodological process, the final indicators, which consists of 3 domains, 7 sub-factors, and 37 items, was identified. The first domain is cognitive competency whose sub-factors are ‘play support knowledge’ made of 5 items and ‘play support skills’ constructed of 6 items. The second domain is affective competency whose sub-factors have ‘play support belief’ composed of 5 items and ‘play support sensitivity’ formed of 5 items. The third domain is practical competency whose sub-factors contain ‘play support plan’ made of 5 items and ‘play support implementation’ composed of 6 items, and ‘play support evaluation formed of 5 items. Conclusions The indicators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were proven to be valid. Theref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indicators by area through in-depth theoretical discussions should proceed based on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화록(Kim Hwa Rok),김보현(Kim Bo Hyun),구광현(Koo Kwang Hyun). (2021).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영역 및 지표 구성에 관한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2), 743-760

MLA

김화록(Kim Hwa Rok),김보현(Kim Bo Hyun),구광현(Koo Kwang Hyun). "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영역 및 지표 구성에 관한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2021): 743-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