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

이용수 274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 A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Conflict and Infant s Depression⋅Anxie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선모(Kang, Sun Mo) 조리경(Jo, Lee Ky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2호, 845~85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P도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1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부갈등, 유아의 우울⋅불안, 어머니의 부모분노 변인으로 이루어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에 근거하여 상관분석과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하였으며, 최종 채택된 모형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부모분노의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채택되었다.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이 유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이 유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어머니의 부모분노를 매개로 이르는 간접적 경로는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부부체계인 부부갈등이 유아의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부부갈등이 자녀의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로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자녀의 우울⋅불안을 감소시키는 개입을 위해 양육장면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부모분노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장기적 개입에 있어서는 부부갈등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infant’s depression⋅anxie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60 mothers of infants aged 3 to 5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15, 2020. Based on these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Confirm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and the fully mediated model, the fully mediated model was adop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dopted model was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 effect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the mother on the infant s depression⋅anxiety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path through mothers parent anger was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of the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the mother on the infant s depression⋅anxiety.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marital conflict can affect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infants,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 anger as a mechanism by which marital conflict affects the depression⋅anxiety of childre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explore mothers parent anger in the parenting scene for interventions to reduce depression⋅anxiety in infants, and also to examin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in long-term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선모(Kang, Sun Mo),조리경(Jo, Lee Kyung). (2021).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2), 845-858

MLA

강선모(Kang, Sun Mo),조리경(Jo, Lee Kyung).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2021): 845-8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