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자녀 상호작용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1001

영문명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School-Ag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as Sequential Mediat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하라(Hara K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177~19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령중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자녀 상호작용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함에 목적을 둔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8차년(2015년), 9차년(2016년), 10차년(2017년), 11차년(2018년) 자료 중 4개년 설문에 응답한 취업모와 자녀 418쌍의 자료를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w1)과 모-자녀 상호작용(w2),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w3), 자녀 집행기능 곤란(w4)은 서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w1)과 자녀 집행기능 곤란(w4) 간 관계에서 모-자녀 상호작용(w2)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w3)의 단순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중매개효과의 경우,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w1)은 모-자녀 상호작용(w2)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w3)에 정적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w4)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이를 통해 학령중기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중재를 위해서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 감소에 목적을 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모-자녀 상호작용이라는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과 집행기능 곤란에 종단적 영향을 갖는다는 점에서 취업모나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 영향 및 스트레스 대처 방안을 다루는 프로그램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친화제도의 지원 자녀 연령대를 확대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lin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s and early school-ag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onal role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18 employed mothers in South Korea with children between 1st and 4th grades (boys: 201, girls: 217) at elementary school. A sequential mediational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for macro program. Results First,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was a significant single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ork-family conflict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econd, the indirect path lin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rough mother-child interation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was significant, and the full sequential mediational model was supported. Conclusions It suggests that intervention aimed at reducing the mother s work-family conflict is necessary for intervention in the enforcement executive function of early school-age childre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deal with parents work-family conflict and stress response measures for working mothers and dual-income couples, given that mother s work-family conflict has a long-term impact on children s media device addiction and difficulty in enforcement. In addition, expanding the age range of children supported by family-friendly polic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하라(Hara Kang). (2021).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자녀 상호작용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5), 177-196

MLA

강하라(Hara Kang).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자녀 상호작용과 자녀 미디어 기기 중독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2021): 17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