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 및 시사점

이용수 406

영문명
A Case and Implications of Making Village Resource Map for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수정(Park, SooJung) 박경희(Park, KyungHee) 김경주(Kim, KyoungJu) 방효비(Fang, XiaoFei) 한소민(Han, SoM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357~37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최근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 실천을 위하여 지역의 자원을 조사하고 활용하자는 요구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는 대전 서구 지역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의 과정과 내용을 정리하고, 마을자원의 조사, 구성, 활용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마을자원 지도 제작은 1) 지역의 교육 여건 및 현황, 교육자원에 대한 조사, 2) 교육자원 현황 조사 결과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와 인식 분석, 3) 주민 수요에 기반 한 마을자원 분석 및 구조화, 4) 주민 수요 중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의 4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은 마을자원의 유형 분류와 현황 조사, 다양한 배경과 전문성을 가진 연구자들의 협업과 피드백, 주민 수요에 관한 심층 면담과 요구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마을 주민들은 거주하는 마을에서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마을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마을자원에 대한 정보 부족이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민 수요를 중심으로 제작한 마을자원 지도는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수업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다양한 경험을 가진 마을활동가들을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며, 혁신교육지구나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된 자원과 지도를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및 데이터베이스화, 그리고 온라인 서비스 제공과 같은 활용 방안이 요구되며, 마을자원 지도의 제작과 지속적인 개선, 기초 단위(시, 군, 구)보다 작은 마을 단위의 지도 연계 제작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Recently, the needs to investigate and utilize local resources for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nd village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summarizes the case of making process on the village resource map of Seo-gu, Daejeon, in Korea, which is promoting the new Projec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intend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investigation,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village resources. Methods Village resource mapping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Survey of local educational conditions, current status in the region and resource-linking resources, 2) Survey and analysis of resident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resources status, 3) Analysis and structure of educational resources centered on residents needs, 4) It consisted of four stages of developing need-oriented village resource maps. Results Village resource mapping in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was conducted through classification and status surveys of village resources, collaboration and feedback from researchers with diverse backgrounds and expertises,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of needs of residents. Villagers had a high need for local education, which they could experience in various ways in their villages, and it was confirmed that a lack of information on village resources could be a hindrance to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 map of village resources produced by the resident needs may be utilized as teaching material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of school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ink local activists with diverse experiences. It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innovative education zones or local education community proj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ctive promotion, databaseization, and online service provision are required to utilize investigated resources and maps, it proposed the mapping of village units smaller than the local government (city, county, and distric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마을자원 조사와 활용
Ⅲ.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정(Park, SooJung),박경희(Park, KyungHee),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한소민(Han, SoMin). (2021).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 및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5), 357-373

MLA

박수정(Park, SooJung),박경희(Park, KyungHee),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한소민(Han, SoMin). "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 및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2021): 357-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