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343

영문명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n Bloom’s New Taxonomy: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서현(Kim Seo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837~84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 중, 고의 가정생활 영역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20개, 중학교 27개, 고등학교 16개, 총 63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성취기준은 연구자와 2명의 코더가 예비 및 최종 분류의 과정을 거쳐 협의를 통해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의 경우는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의 비중이, 인지 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와 ‘적용하다’가 높은 비중을 보였다. 지식 차원과 인지 과정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가 가장 많았다. 둘째, 학교급별 특성을 살펴보면, 지식 차원의 경우 개념적 지식은 고등학교, 절차적 지식은 초등학교, 메타인지적 지식은 중학교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인지 과정 차원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이해하다’, 중학교에서는 ‘적용하다’, 고등학교에서는 ‘이해하다’의 비중이 높았다. 지식 차원과 인지 과정을 복합적으로 살펴보면 초, 중, 고 모두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초, 중학교에서는 ‘절차적 지식을 적용하다’, 고등학교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을 분석하다 및 적용하다’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내용에 기반한 제언으로는 1개의 성취기준이 2개 이상의 지식과 인지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2015 개정교육과정의 목표인 학습량 적정화를 위해 성취기준 개발 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상위학교급으로 갈수록 절차적 지식과 메타인지적 지식이 상위 인지 과정과 연계되어 고등사고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고, 초등학교에서도 다양한 인지 과정을 균형있게 다룰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향후 가정생활분야의 3개 영역과 6개의 핵심개념별 성취기준을 지식, 인지 과정 차원에서 분석하여 2015 개정교육과정의 의도가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amily life area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Economics) curriculum. Methods To do this, 63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based on Bloom s new taxonom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nowledge level,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had a high proportion, and in the cognitive process level, ‘understand’ and ‘apply’ showed a high proportion. In the case of a complex analysis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Secon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level, in the case of knowledge level, ‘conceptual knowledge’ in high school, ‘procedural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middle school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the cognitive process, the proportion of ‘understand’ in elementary school, ‘apply’ in middle school, and ‘understand’ in high school was high. In the case of a complex analysis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is the most comm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llowed by ‘apply procedural knowledg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analyze and apply metacognitive knowledge’ in high school. Conclusions As a sugges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 single achievement standard often includes two or mor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and thus a close review is required when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optimize the amount of learning, which is the goal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need to be linked to higher cognitive processes to cultivate higher thinking skills, and elementary school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deal with various cognitive processes in a balanced wa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inten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properly reflected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of the three scope of the family life area and the six core outlines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서현(Kim Seohyun). (2021).‘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5), 837-849

MLA

김서현(Kim Seohyun).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2021): 837-8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