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교수자의 특성 분석

이용수 303

영문명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using Latent Class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규은(Kim, Gyueun) 이동주(Lee, Dongjoo) 김민성(Kim, Mins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5호, 559~5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특성을 학생의 인식을 통해 살펴보고 그 특성을 유형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9년 11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4년제 종합 사립대학에서 일반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230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2019년 1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분석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후 도출된 특성들이 어떠한 유형으로 묶이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범주(개별적 관심, 참여소통, 수업열정, 눈높이 설명, 정교화 피드백, 방향제시 피드백, 긍정적 피드백, 즉각적 피드백)가 도출되었다.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하여 ‘학생참여 촉진형(29.4%)’, ‘구체적/체계적 안내형’(22.2%)’, ‘개별적 관심/지원형(48.4%)’의 3개의 교수유형을 도출하였고, 교수자의 성별과 전공영역에 따라 유형별 소속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교수자의 특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양적인 지표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through students’ lens, and to classify the identified teacher characteristics into heterogeneous sub-groups. Methods 23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via open-ended survey which used questions for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of teachers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used to discover the underlying response patterns. The study conducted ANOVA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gender and subject variables of the three latent classes. Result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eight categories (‘personal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explanation suited to students’ level’, ‘elaborative feedback’, ‘guided feedback’, ‘positive feedback’, and ‘immediate feedback’) describing teacher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three sub-groups were defined as ‘active engagement facilitator’ (29.4%), ‘elaborative/systematic explanation provider’ (22.2%), and ‘personal interest/support provider’ (48.4%). The result of ANOVA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gender and subject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n implicat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by presenting various insights of students’ thoughts followed by the representation of statistically sound results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은(Kim, Gyueun),이동주(Lee, Dongjoo),김민성(Kim, Minseong). (2021).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교수자의 특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5), 559-578

MLA

김규은(Kim, Gyueun),이동주(Lee, Dongjoo),김민성(Kim, Minseong).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교수자의 특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2021): 559-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