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사회적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방안

이용수 614

영문명
Media Literacy Pedagogy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배윤정(Bae Yunjeo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6호, 47~6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메시지 접근, 메시지 여과 및 자기화, 사회적 소통, 의미 정교화 및 재구성, 평가의 과정으로 구성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모형을 마련하였고, 각 과정별 활동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이를 바탕으로 한 수업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메시지 여과 및 자기화 과정에서의 과제 수행을 통해 확장된 소통 양식을 경험하게 되며 미디어의 특징을 자연스레 체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생산된 다양한 메시지를 분석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미디어 메시지를 생산하는 주체 또는 사회적 맥락에 따른 다양한 의미 표현을 이해하게 된다. 이어서 사회적 소통 과정을 통해 발표 및 토론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관련 문제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접하며, 어떤 부분에서 서로 상충되는 의견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소통 후에는 다른 사회 구성원과 나의 의견을 통섭하여 의미 정교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생각을 새롭게 재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미디어 리터러시 과정을 거친 후에는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평가 및 검토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소통이 자신의 생각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실천적 경험을 통해 인식하게 된다. 이제는 앞으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도 개인의 개별 미디어 사용 및 메시지 생산 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타인과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회적 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for teaching media literature aimed at improving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a model media literacy class composed of five steps (approach, filtering and internalization, social communication, concretization of meaning and reco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then formulated activities for each. Bt an example class for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In the model class students experience an extended pattern communication through the assignment of message filtering and internalization, there by becoming acquain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hey then become aware of various expressions of meanings that depend on the producer and of the social context of the media message by applying an analytical approach to the already-produced messages. The process is followed by social communication practice throug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that expose the students to various opinions on a selected problem from other members of society. The students then determine whether opposing opinions a produced. This social communication activity a session for the concretization of meanings a comprehensive combination of the opinions of other members of society and the students.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ent’s view is reconstructed. After completing the media literacy class, students can be expected to become aware of the change of their own thoughts through their hands-on experience insocial communication based on media literacy, confirmed by an evaluation and review of the process.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strengthen social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digital communication with others as well as improve students’ capability to produce personalized messages using media.

목차

1. 서론
2. 미디어 리터러시와 사회적 소통 능력
3.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모형
4.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의 실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윤정(Bae Yunjeong). (2021).대학생들의 사회적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방안. 문화와융합, 43 (6), 47-66

MLA

배윤정(Bae Yunjeong). "대학생들의 사회적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방안." 문화와융합, 43.6(2021): 4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