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동적 소집단 온라인 모둠 토론에서의 메시지 유형 분석

이용수 253

영문명
Analysis of Message Types in Collaborative Small Group Discussions Online: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Discussion on KakaoTalk Messenger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윤정(Kim Yune J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6호, 291~3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카카오톡 메신저를 사용한 대학생들의 협동적 소그룹 온라인 모둠 토론의 메시지 양상을 유형화하고 특징을 분석하여, 온라인 토론에서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대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카카오톡 메신저 활용 온라인 토론 담화를 분석하였다.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 틀을 활용해 사이버 채팅의 방식으로 진행된 대학생 온라인 토론 담화를 사회적, 상호작용적, 메타 인지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면대면 토론과의 차이점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토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담화 분석 결과 사회적 측면의 담화는 토론 진행과 관련된 내용으로 상대의 말에 칭찬을 담은 동의가 대부분이었다. 면대면 토론에서는 반박이나 공격적 반론이 대부분이며, 상대적으로 칭찬이나 동의의 표현이 적극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온라인 토론에서는 이런 표현들이 빈번하게 드러났다. 상호작용적 측면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동의나 공감에 대한 반응 표현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경청의 표현으로 짧은 단답형 표현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는 앞선 논의에 대해서 잘 들었다는 피드백 표현으로 면대면 대화 상황에서의 맞장구, 고개 끄덕임과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대면 상황에서는 상대방의 반응을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상대의 말에 대해 경청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메타인지 측면에 대한 분석 결과는 자신의 의도, 의지, 사고의 과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났다. 면대면 토론 상황에서는 자신의 주장과 그에 대한 근거를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속마음이나 의견을 제시하기까지의 과정, 속마음 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온라인 토론에서는 의식의 흐름이 글로써 드러나기 때문에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의 과정을 드러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online discussions by typ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message patterns of cooperative small group discussions online of college students using KakaoTalk messenger. The research analyzed the online discourse among 26 college students using KakaoTalk messenger. Using Henri’s(1992) message analysis framework, the study analyzed the online discourse of college students in discussions conducted in the form of cyber chat in terms of social, interactive, and meta-cognitive aspects, revealing the difference from face-to-fac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discourse analysis showed that discourse in the social aspect was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discussion, and was predominantly in the form of praise for other persons. In face-to-face discussions, rebuttals or aggressive objections are the most common expressions, and with expressions of praise or approval tending not to be rare. However, in the online discussions analyzed, these expression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erms of interaction, expressions of reactions such as approval or empathy for the other party were dominant, and short-answer expressions frequently appeared as expressions of listening. This feedback expression indicated that the student paid attention to the previous discussion, comparable to nodding in face-to-face conversations.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those in conversation cannot directly check other people’s reactions; using short-answer expressions serves to indicate one’s attention to other persons’ w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etacognitive aspect directly revealed participants’ intention, will, and thought process. In a face-to-face discussion situation, one’s opinion and the basis for it must be expressed clearly and objectively, but one’s process of presenting an opinion and inner mind cannot be clearly revealed. In online discussions, the flow of consciousness is revealed in writing, enabling participants to reveal their feelings or thought processe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정(Kim Yune Jung). (2021).협동적 소집단 온라인 모둠 토론에서의 메시지 유형 분석. 문화와융합, 43 (6), 291-318

MLA

김윤정(Kim Yune Jung). "협동적 소집단 온라인 모둠 토론에서의 메시지 유형 분석." 문화와융합, 43.6(2021): 291-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