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벌 팬데믹 시대 속에서 생사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제언

이용수 148

영문명
Justification of Life and Death Education in the Global Pandemic Er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곽혜원(Kwak Hyew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2호, 105~1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어나 늙고 병들어 죽는 생로병사(生老病死)가 우리 인생의 참모습이지만, 우리가 살아가는포스트모던(postmodern) 세계에서 죽음에 대한 소외가 가장 심각하다는 것이 죽음을 연구하는학자들의 중론이다. 의학과 생명공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엄청난 수혜를 누리게 된 오늘날 21세기에 젊고 건강한 삶에 대한 집착을 통한 죽음의 소외는 나날이 심화하고 있다. 특별히 우리나라의 죽음의 질은 예나 지금이나 매우 열악해서, 불행한 임종·존엄하지 못한죽음이 만연한 상황이다. 그 뼈아픈 예로 우리는 먼저 세계 최고 수준의 자살률을 들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자살률을 20년 가까이 유지하는 비상상황이다. 우리 국민이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받는 실태도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문제상황 속에서 사상 초유의 COVID-19로 인해 글로벌 팬데믹(global pandemic) 시대에 돌입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이 사람들의 폐부 깊숙이 각인됨으로써, 죽음을 성찰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널리 확산하고 있다. 최근 몇년간 삶과 죽음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기류가변화의 조짐을 보여왔는데, COVID-19 사태가 결정적 분기점이 되어 죽음을 공론화하려는 움직임이 강한 설득력을 얻게 될 것이다. 이제 죽음을 회피하는 시대적 에토스(ethos)를 거슬러 ‘죽음의 사사화’에서 ‘죽음의 공론화’로전환해야 할 때다. 이 시대는 죽음의 기술을 회복하고, 죽음을 준비하는 오랜 전통을 존중하며, 죽음의 공적 기능을 부각시키며, 죽음의 교육적 의미를 받아들여 죽음을 다시 배워야 할 것이다. 이제 죽음을 삶의 중심부로 끌어들이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죽음에 대한 터부를 끊고, 죽음을 우리 삶의 일상적 대화주제로 올려야 한다. 더욱이 100세 시대를 내다보는 초고령화 시대에는 죽음에 관한 종교적· 철학적 담론을 위시하여 우리 국민의 죽음의 질과 죽음 문화의 성숙에대한 담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는 본 논문은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봉착하여 지난 세기 사사화되어왔던 죽음을 공론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삶과 죽음을 깊이 성찰하는 생사교육(生死敎育)을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정착시킴으로써, 죽음을 생애 전 과정을통해 이루어야 할 과업으로 독려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 존엄한 사회를진작시키는 데 동기부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Birth, aging, disease, and death are inevitable features of our lives. However, scholars who study death believe that the alienation of death is the most severe in the postmodern world. People living in the 21st century today are enjoying tremendous benefits from the rapid advances in medicine and biotechnology but increasingly alienating death through their obsession with a young and healthy life.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death in Korea is very poor (even now and in the past) because unfortunate deaths and undignified deaths are widespread. A very painful example is the world’s highest suicide rate. Currently, Korea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reby it has maintained the world’s highest suicide rate for nearly 20 years. It is believed that the reality of Korean people receiving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is almost the highest in the world. In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the unprecedented COVID-19 has entered the era of a global pandemic. As a result, anxiety and the fear of death have a profound effect on people, and consensus is spreading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death. In recent years, the way our society thinks about life and death has changed. Therefore, the COVID-19 outbreak will be a decisive turning point, and the move to discuss openly death will gain strong persuasion. It is time to change the social atmosphere that alienates death and shift from “death privatization” to “death public debate.” We must restore the art of death, respect the old tradition of preparing for death, emphasize the public function of death, accept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ath, and relearn death. Now, social efforts are needed to bring death to the center of life. We should stop the taboo on death and raise it as a topic of daily conversation in our lives. Furthermore, in the age of super-aged people, discussions on the quality of death and the maturity of the culture of death are necessary, including religious and philosophical discourse on death. This thesis, starting from this problem consciousness, aims to contribute to public debate about death, which has been privately held in the last century in the face of the global pandemic era. Through this, life and death education, which deeply reflects on life and death,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at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reby portraying death as a task to be accomplished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Therefore, we aim to motivate people to live a life of dignity, die with dignity, and promote a society of dign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글로벌 팬데믹 시대와 죽음에 대한 성찰
2. 인류역사상 죽음을 가장 소외시키는 포스트모던 세계
3. 불행한 임종‧ 존엄하지 못한 죽음이 만연한 한국 사회
4. 생사교육이 요청되는 교육현장과 제도적 정착의 당위성
5. 나가는 말: 죽음의 공론화와 생사 공동체의 회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혜원(Kwak Hyewon). (2021).글로벌 팬데믹 시대 속에서 생사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제언. 문화와융합, 43 (2), 105-124

MLA

곽혜원(Kwak Hyewon). "글로벌 팬데믹 시대 속에서 생사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제언." 문화와융합, 43.2(2021): 105-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