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희곡 <흑백다방>의 각색에 있어서 ‘왜’, ‘누가’, ‘어디서’의 문제

이용수 47

영문명
The Problem of “Why,” “Who,” and “Where” in the Adaptation of the Play Black and White Tea Room: A Comparison with the Play Death and the Maide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노시훈(Noh Shih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2호, 555~57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차현석의 희곡 <흑백다방>의 영어판 각색을 중심으로 각색에 있어서 ‘왜’, ‘누가’, ‘어디서’의 문제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 고찰에서는 아리엘 도르프만의 희곡 <죽음과 소녀> 가 <흑백다방>과의 많은 유사점을 제공하므로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흑백다방>의 각색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첫째, <흑백다방>과 <죽음과 소녀>는 모두 고문 등의 주제들에 대한 세계적 고찰을 위해, 그리고 관객의 확장(과 그것을 통한 예술적 명성의 확대)을 위해 영어판으로 각색되었으나, 후자가 두 가지를 동시에 추구한 데 비해 전자는 관객의 확장에서 세계적 고찰로 나아갔다. 둘째, 원작의 작가가 각색 전체를 책임진 후자와 달리 전자의 각색에는 원작의 작가 외에 작품상연이 이루어진 영국의 배우들이 각색에 참여하였는데, 이들의 참여로 원작의 주제와 분위기가바뀌는 등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난다. 셋째, 후자가 단순한 외국어 번역이라면 전자는 문화권의차이로 인해 내용의 많은 부분이 변화될 수밖에 없었던 ‘문화횡단적’ 번역인데, ‘재역사화’를 주된 방법으로 사용하되 변화시키고자 하는 요소의 등가물을 찾기가 어려울 때는 탈역사화나 원작의 유지로 이를 대신하는, 상황에 따른 ‘현지화’ 방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각색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ssues of “why,” “who,” and “where” in the adaptation, focusing on the English version of Cha Hyun-Suk’s Korean play Black and White Tea Room (2014). Ariel Dorfmann’s play Death and the Maiden (1994) provides many similarities with that of Cha Hyun-Suk,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aptation of Black and White Tea Room were studied in this article by comparing the two works. First, the two plays were adapted into the English version for global consideration of the subjects covered and for the expansion of the audience (and that of artistic reputation through it). However, while the latter pursued both at the same time, the former moved from expanding the audience to global consideration. Second, unlike the latter, in which the author of the original work was in charge of the entire adaptation, in the former, not only the author of the original work, but also British actors who performed the work participated in the adaptation, and their participation changed the theme and atmosphere of the original work. Third, while the latter is a simpl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the former is a “transcultural” translation in which many parts of the content had to be changed due to differences in cultures. In the former, “rehistoricization” was used as the main method, but when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equivalent of the element to be changed, it was replaced by dehistoricization or maintenance of the original work. The former can be said to be a meaningful adaptation in that it shows the “indigen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ituation.

목차

1. 서론
2. 고문에 대한 세계적 고찰과 관객의 확장
3. 각색자로서의 원작자와 배우
4. 현지화와 재역사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시훈(Noh Shihun). (2021).희곡 <흑백다방>의 각색에 있어서 ‘왜’, ‘누가’, ‘어디서’의 문제. 문화와융합, 43 (2), 555-572

MLA

노시훈(Noh Shihun). "희곡 <흑백다방>의 각색에 있어서 ‘왜’, ‘누가’, ‘어디서’의 문제." 문화와융합, 43.2(2021): 555-5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