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국내 임상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717

영문명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ffectiveness of the Medication Program: Focusing on Published in 2000-2020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희진(Kim, Hee-Jin) 이미선(Lee, Mi-S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2호, 753~7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의 명상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한 임상 연구에 대한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총60편을 대상으로 발행 연도, 연령 구분, 성별 구분, 집단 설계, 집단 특성, 연구 대상 수, 명상프로그램의 종류(주요 구성 요소), 측정 변인 등의 8가지 분석 틀을 기반으로 내용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통제 집단 설계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대상의 연령은 대학생및 성인 집단이 70%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의 특성으로는 일반군이 전체의 78.3%, 환자군은21.7%에 해당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참여 인원 수는 11-20명이 3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 요소로는 마음챙김이 21.7%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고, K-MBSR (20.0%), MBSR(15.0%), MBCT(13.3%), 자비명상(8.3%), 호흡명상(6.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 변인에 대해서는 심리적· 신체적 요인(21.7%), 심리적 요인· 행동적 요인(18.3%), 심리적· 인지적 요인(16.7%)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명상 관련 임상 연구의 동향을 면밀하게빈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명상 프로그램과 실천적 원리를 활용한 임상적 연구에 대한 시도를 확대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for clinical studies that prove the effectiveness of meditation programs in Korea. Sixty studie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20.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eight frameworks including year of publication, age of participants, gender of participants, study design, characteristics of group, number of research subjects, types of meditation programs (main components), and measurem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control group design was the most common, and 70%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78.3% of the general group and 21.7% of the patients group. In additi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the highest with 11-20 (35.0%). Mindfulness was the most reported, with 21.7%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rogram, followed by K-MBSR (20.0%), MBSR (15.0%), MBCT (13.3%), compassion meditation (8.3%), and breathing meditation (6.7%). In addition, the measured variables were analyzed as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21.7%),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18.3%), and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16.7%).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ystematic analysis of clinical research on medit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진(Kim, Hee-Jin),이미선(Lee, Mi-Sun). (2021).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국내 임상 연구 동향 분석. 문화와융합, 43 (2), 753-774

MLA

김희진(Kim, Hee-Jin),이미선(Lee, Mi-Sun).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국내 임상 연구 동향 분석." 문화와융합, 43.2(2021): 753-7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