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장이 파악한 유식삼십송의 구조

이용수 205

영문명
The Composition of the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as Understood by Xuánzàng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강명희(Kang, Myung-hee)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2호, 651~66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친의 유식삼십송은 유식의 교의를 30송으로 압축하여 ‘아와 법’은 3가지 식(識)의 전변으로가설된 것이며 이는 유식과 유식성(唯識性)으로 회통됨을 밝힌다. 현장은 유식삼십송에 자신의주석을 첨가하여 유식삽십론송을 저작하여 30송은 세친 당대의 외도와의 논쟁에 대한 세친의대답이라고 주석하였다. 특히 유식삼십송의 전반적 체계를 상(相)과 성(性)과 위(位)로 나누어 30송의 구조를 밝히려하였으며 유식용어를 교학화하였다. 전변하는 3가지 식의 모습을 3능변식이라고 정리하였으며내식만이 있고 외연은 없다는 게송을 유식무경설로 정리하였다. 또한 3능변식의 연기적 관계를3성설이라고 정형화하였으며 3성설의 무자성설을 3무자성설이라고 정형화하였다. 특히 마지막5게송에서 밝힌 유식성으로 진입하는 마음의 과정과 그 특징을 깨달아 들어가는 문사수(聞思修) 의 방법이라고 하고 5위 수행이라고 명명하였다. 다섯 게송 각각에 자량위(資糧位), 가행위(加行 位), 통달위(通達位), 수습위(修習位), 구경위(究竟位)이라고 명칭하고 그 특징을 대승적 입장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현장은 세친 30송에 나타난 유식교의를 유식학설로 정리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唯識三十頌), Vasubandhu, condensing the Yogācāra doctrines into 30 sūtras, explains that all subjects and objects in the world are temporarily made from Consciousness and are concluded to Vijñaptimātra (唯識) and Vijñaptimātratā (唯識 性). Xuánzàng translated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into Chinese under the name Vijñaptimātratā Triṃśikā Kārikāḥ (唯識三十論頌, Wéishí sānshí lùn sòng), and added a short commentary, in which he commented that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was Vasubandhu’s reply regarding the dispute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opponent. Xuánzàng tried to explain the composition of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in the system of form (相), nature (性), and position (位), and arranged the terminology of Vijñaptimātra. He named three forms of Consciousness as three ways of Consciousness (三能變識) and classified them along with the content of a sūtra that there is no outer object, but only inner Consciousness to the theory that there is only the virtual nature of Consciousness (唯識無境說). He also named the dependent relationship of the three ways of Consciousness to the theory on the three-fold existential nature of Consciousness (三性 說), and the absence of the three-fold existential nature of Consciousness to the theory on the absence of the three-fold existential nature of Consciousness (三無性說). He, especially, named the content on practice in the last five sūtras to the theory of the five stages of the noble path (五位修行). He named the stage of moral provisioning (資糧位), the stage of preparation through intensified motivation (加行位), the stages of unimpeded penetration (通達位), the stages of transcendental cultivation (修習位), and the stages of ultimate realization (究竟位) to each practice stage in the last five sūtras, and explained their characters in the aspect of Mahayana Buddhism. Therefore, we can say that Xuánzàng systematized the vijñaptimātratā doctrines in the Triṃśikā-Vijñaptimātratā through the Chinese translation of it in the name of Vijñaptimātratā Triṃśikā Kārikāḥ (唯識 三十論頌).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유식삼십송의 구조와 현장의 이해
3. 현장 유식학의 특징
4.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명희(Kang, Myung-hee). (2021).현장이 파악한 유식삼십송의 구조. 문화와융합, 43 (2), 651-667

MLA

강명희(Kang, Myung-hee). "현장이 파악한 유식삼십송의 구조." 문화와융합, 43.2(2021): 651-6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