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이용수 1327

영문명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Online Class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after Corona 19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승모(Kang, Seung Mo) 임경원(Lim, Kyoung Won) 강성구(Kang, Seong Goo) 황인선(Hwang, In Sun) 김주희(Kim, Joo 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4호, 675~70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원격수업을 진행한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이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을 경험한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0년 4월부터 6월까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등 특수학급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의미는 ‘특수교육에 잔인한 코로나19’, ‘고군분투하는 특수교사들’, ‘Post Corona 준비하기’의 3개 상위범주, 6개 하위범주, 12개의 의미단위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주제를 토대로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에 유의미한 수업전략과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하고, 둘째, 국립특수교육원을 포함한 여러 전문적인 교육지원기관(KERIS, KEDI, EBS 등) 간의 협력과 학부모 등 조력자 참여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강화가 요구되며, 장애학생 원격수업 기반 마련을 위한 국가차원의 종합적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who have conducted online classes after COVID-19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0 for nin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and the collected interviews and supplementary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operation of online classes were analyzed in three upper categories: ‘Corona 19 cruel to special education ,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ruggling against Corona-19 , and Preparing for Post-Corona , 6 subcategories and 12 semantic units. Based on these derived themes,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online educational materials to be developed based on meaningful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econd, cooperation among various national-wide specialized educational support institutions should be prepared and a plan for participation of assistants such as parents must be prepared. Third, it is necessary to adopt digital literacy skills as essential competencies in online classes, 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national-level policies for the foundation of online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승모(Kang, Seung Mo),임경원(Lim, Kyoung Won),강성구(Kang, Seong Goo),황인선(Hwang, In Sun),김주희(Kim, Joo Hee). (2020).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24), 675-704

MLA

강승모(Kang, Seung Mo),임경원(Lim, Kyoung Won),강성구(Kang, Seong Goo),황인선(Hwang, In Sun),김주희(Kim, Joo Hee).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2020): 675-7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