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이용수 930

영문명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ment Tool for the Collegiate Education Satisfa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혜종(Shin Heajong) 김미량(Kim Milyang) 유영의(You Yungeu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1호, 139~16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15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만족도조사 결과가 대학교육의 질 관리 기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신뢰도과 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A지역에 소재한 S대학교의 교육이념과 학교특성을 반영한 교육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점검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교육만족도를 구성하는 6개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고, 각 요인별로 3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하여 2 단계에 걸친 안면타당도 검증 과정을 실시하였다. 1차로 교육만족도 평가도구 개발연구위원회의 위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6개 요인에 대해 총 60문항으로 재구성하였고, 이 척도에 대해 단과대 학장들과 전체 학과장을 대상으로 2차 안면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된 척도는 S대학교 재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뢰도는 내적일치도를, 타당도는 준거 관련 타당도를 통해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S대학교의 교육만족도 진단도구는 각 하위 요인의 내적일치도가 높고, 진단도구의 모든 하위요인과 ‘학교발전가능성’, ‘학교선호도’, ‘전반적 교육 만족도’ 등의 준거문항 간에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for a measurement of education satisfaction to be an effective tool in the quality control mechanism, the measurement should be reliable and vali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tool of collegiate education satisfaction that is based on S university’s ideology of education. The study was consist of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constructs of education satisfaction specifically for S university were sought and 6 categories are derived. In the second phase, education satisfaction measurement were developed and standardization of the measurement were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study of prior measurement tools used in universities, a preliminary measurement that has 6 sub-scales with 180 items was developed. That measurement went through two steps of face validity test. As a result, a 60-item(10 items in each sub-scale) collegiate education satisfaction measurement was drawn. In the second phase, a series of tes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the measurem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200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S university at the time of the study have participated in the process. For the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whole and each sub-scales were conducted. For the validity, the correlation of the measurement with related constructs such as ‘university’s potential’, ‘university preference’,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surement has high internal consistency in all of 6 sub-scales and high correlation with criterion-related constru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종(Shin Heajong),김미량(Kim Milyang),유영의(You Yungeui). (2020).대학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21), 139-161

MLA

신혜종(Shin Heajong),김미량(Kim Milyang),유영의(You Yungeui). "대학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2020): 139-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