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현황 및 시사점

이용수 241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Japa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장미(Hong Jangmi) 박상봉(Park Sangb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1호, 183~20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진적인 수영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일본 초등학교의 수영교육 현장을 들여다보고 시사점을 탐색하여 우리나라의 수영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본의 초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서자료 수집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의 초등학교는 대부분 자체 수영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수영 시설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었다. 그러나 수영장의 노후화 문제에 직면해 있었으며 날씨와 기온의 제약으로 인해 수영장의 가동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 교육과정의 운영 모습을 살펴본 결과, 일본에서 수영교육의 주체는 담임교사이나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교사들도 수영교육의 전문성 부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부모 및 교사 공동체의 협력과 지역사회의 인적자원 활용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들을 모색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실질적인 생존 역량을 기르기 위한 명확한 성취기준 중심의 수영교육과정 운영, 교사의 수영교육 전문성 부족 극복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학교 수영장 건립을 대체할 수영교육 시설 개발 및 확보를 우리나라 수영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actual scene of swimming education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considered to provide advanced swimming education, thus exploring the lessons to be learned in order to propose the direction in which Korea’s swimming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 directly visited elementary schools in Japan,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documents and material, and analyz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most elementary schools in Japan had their own swimming pools and strictly managed their swimming facilit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ssues due to the aging of the swimming pools, as well as the low operation rate of the swimming pools due to weather and temperature restriction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practical swimming courses, the homeroom teacher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swimming education, and Japanese teachers - like Korean teachers - recognized that they lacked expertise in swimming education. However,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parent and teacher community as well as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human resources, the schools were looking for alternatives to overcome these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sugges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swimming curriculum based on clear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tudents’ actual lifesaving skills,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overcome teachers lack of expertise in swimming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securement of swimming education facilities in order to replace the school swimming pools are ways that Korea’s swimming education could be impro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일본 초등학교 수영교육에서의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장미(Hong Jangmi),박상봉(Park Sangbong). (2020).일본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현황 및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21), 183-206

MLA

홍장미(Hong Jangmi),박상봉(Park Sangbong). "일본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현황 및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2020): 183-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