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성교육을 위한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간의 관계

이용수 12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s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for Character Education : Mediating Effects of Titling Artwork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주령(Park Joo ryung) 강진령(Kang Jin ryung) 이근매(Lee Keun ma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6권 12호, 821~83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을 위한 6인협력그림검사를 소개하고 이 활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간의 관계에서 제목정하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충남지역 소재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6인협력그림검사와 GRSLSS의 협력적 학습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3프로그램, AMOS19프로그램,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 간의 유의한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개인협력 그림요소가 협력적 학습유형에 미치는 영향에서 제목정하기가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즉, 개인협력그림요소가 협력적 학습유형에 유의한 직접효과의 영향보다 개인협력그림요소가 제목정하기를 매개로 하여 협력적 학습유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6인협력그림검사를 실시할 때 개인협력그림요소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성공적인 제목정하기의 수행한 학생이 협력적 학습유형이 높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6인협력그림검사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ix-member collaborative drawing test (S-CDT)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o examine whether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 scal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mediated through titling artwork. A total of 114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group drawing. The path analysis was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titling artwork analyzed by using SPSS 23.0, AMOS 19.0, and PROCESS macro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ly,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 scal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significantly related. Secondly,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rough partially mediating titling artwork. The results indicated titling artwork is important to predict participant’s collaborative tendency after collaborative team work. For the future research of this study would need to be tested for size of group members of diverse popul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령(Park Joo ryung),강진령(Kang Jin ryung),이근매(Lee Keun mae). (2016).인성교육을 위한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12), 821-835

MLA

박주령(Park Joo ryung),강진령(Kang Jin ryung),이근매(Lee Keun mae). "인성교육을 위한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2016): 821-8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