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지각된 과제가치와 학습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협동학습태도를 통한 자기결정성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251
- 영문명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ask valu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주(Lee, Hyu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7호, 521~5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과제가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에 대한 협동학습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학습자중심 수업설계 방향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지역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SPSS PROCESS로 자기결정성동기 매개효과와 협동학습태도의 조절효과 및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고, 부트스트랩핑 및 그래프의 각 수준별 t값 유의수준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의 유의성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각하는 과제가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는 학업지연행동을 완화시키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지각된 과제가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기결정성동기는 증가하고,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이 증가할수록 학업지연행동을 완화시키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협동학습태도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협동학습태도 상, 중, 하 모든 수준에서 학업지연행동을 유의미하게 조절하였고, 자기결정성동기와 협동학습태도 모두 ‘상’인 집단이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가장 낮았고,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이 ‘하’인 집단에서는 협동학습태도 ‘상’인 집단의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가장 높았다. 셋째, 지각된 과제가치와 자기결정성동기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협동학습태도는 유의미한 매개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즉 지각된 과제가치(B=-.332, p<.001)가 높아질수록, 자기결정성동기가 높아질수록(B=-.484, p<.001) 학업지연행동은 감소하였으나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이 낮아지고 협동학습태도가 높으면 학업지연행동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로써 자기결정 성동기*협동학습태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B=-.018, p<.05)을 통해 협동학습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과제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우호적인 협동학습태도에도 불구하고 자기결정성동기가 부족할 경우 학업지연행동을 낮추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감과 유능성을 고양시킬 수 있는 수업설계를 통해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s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valu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rough the results derived here, the direction of effective learner-centered class design is suggested.
Methods The subjects were 334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colleg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an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were analyzed with SPSS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nd t-value significance level for each level of the graph.
Result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ask valu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alleviating academic procrastin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erceived task value level, the higher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he higher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vel, the mediating effect of alleviating procrastination behavior. Seco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significantly regulated at all levels of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The group with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vel ‘high’ and learning attitude level ‘high’ had the lowest level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group with collaborative ‘low’ level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high’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had the highest level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when perceived task valu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e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shows a significant mediated moderating effect. That is, the higher the perceived task value(B=-.332, p<.001) and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B=-.484, p<.001), the lower the procrastination behavior. However, whe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as lowered a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was higher, procrastination behavior rather increased. As a resul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was verified through a significant interaction(B=-.018, p<.05)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Conclusions Despite a favorable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it is difficult to lower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i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s lacking.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rough class design that can enhance confidence and competence, a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tas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7호 목차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7호 표지
- 학사제도 유연화 적용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스포츠 분야 공공언어 정비 방안 연구
-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측정 도구 PPLI(Perceived Physical Literacy Instrument)의 타당성 연구: 한국 중학생 대상
- 대학생 실패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간호정보활용능력, 근거기반실무역량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다학제간 팀티칭교육 효과
- 포괄적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생활지도 영역에서의 교사 역할
- 영아기 자녀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어머니-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COVID-19 백신접종의향과 관련 불안이 COVID-19 예방행위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한 경력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경험에 대한 자기성찰 연구
-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 분석
-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기본심리욕구 진로관여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목표지향성이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릿의 매개효과
- 25년간의 조기 영어교육 관점 변화
- 고등학생의 인지정서조절전략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마젠타스튜디오(Magenta Studio)를 활용한 중등 블렌디드 러닝 창작 음악 교수학습 방안
- A literature review to explore the use of Contact Theory, in exploring integration strategies between students who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South Korean students
- 고등학생의 자기제시동기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영향
- 중등학교 예비 진로전담교사의 MSCI 참여경험과 학교적용방안 탐색
- 학사경고를 받은 전문대학생을 위한 Adler와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의 신체활동횟수와 주요 사회적 문제와의 관계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MZ세대와 기성세대 유치원 교사들 간의 특성에 대한 상호 인식 탐구
- 한의과대학 재학생의 한의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 초등영어 쓰기에서 비계를 강화한 내용-언어 통합(CLIL) 모델 개발
- Bovill & Bulley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논의
- 학생 주도성이 발현되는 맥락과 수준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지각된 과제가치와 학습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협동학습태도를 통한 자기결정성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 리더육성 장학사업 참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진로설계, 학업 및 대학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LT협동활동을 기반한 유아 디지털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원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신병 훈육요원을 위한 군 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시기 아동의 독서량과 초등학교 6학년 때의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목도나루학교 전환기교육 학습자의 자아 성장 사례연구
- 중년기 위기감과 정신건강의 관계
- LMS 성찰 글쓰기를 활용한 ‘뉴스포츠 실기 및 지도법’ 전공수업에 참여한 직전 교사의 경험과 시사점 탐색
- 지역사회 연계 환경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30세 이상 성인 당뇨병 유병자의 치료와 조절
- 대학생의 학과만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중등학생의 인지조절전략과 학업 효능감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코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독거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반성적 사고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민주적 학급 운영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요양병원 실습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반 데이터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양교과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현황이해
- 서울시 영유아 돌봄의 공동육아방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 ESG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중요성 및 인식과 사회문제 인식 연구
- 국어 교육용 정보 텍스트의 목록화
- 자기불일치가 물질주의에 미치는 영향
- 에듀테크 기반의 융합 수업설계 원리 개발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과 타당화
- 부모자녀관계, 학습양식 선호 및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종단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 명화감상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시각장애 성인 학습자를 위한 학력보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
- 디지털 촉각그래픽 솔루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사용자 경험 설문(UEQ) 및 면담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