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Analysis of Secondary Life Science among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of The Gifted Education Databas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채지흔(Chae, Jiheun) 천재순(Chun, Jaes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7호, 83~10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ifted Education Database, 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을 분석하여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은 2018년의 ‘체제와 상호작용’, 2019년의 ‘에너지’와 ‘안정성’, 2020년의 ‘변화의 패턴’을 대주제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대주제는 여러 소주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주제별로 독립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소주제로 묶여 있는 수업을 하나의 개별적인 프로그램으로 간주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분석을 위하여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을 분석 도구로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분석에는 영재교육의 경험이 있는 현직 과학 교사 3인이 참여하였으며,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논의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전체 15개의 프로그램의 분석 결과, 평가 기준의 36점 만점에 22점∼30점의 점수가 나타난다. 전체 15개의 프로그램을 평가기준의 주요 특성별로 살펴보면, 15개의 프로그램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특성은 ‘3. 목표의 명확성’이며, 다음으로는 ‘2. 재능 계발기회’와 ‘5. 평가 요소’, ‘6. 학습 활동’이 그 뒤를 따른다. 반면에, 15개의 프로그램에서 가장 잘 나타나지 않는 특성은 ‘10.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일관성 및 다른 교육자의 사용 편의성’이며, 다음으로는 ‘7. 교수 전략’과 ‘1. 차별화의 본질’이 그 뒤를 따른다. 결론 향후 중등 생명과학 영역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10.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일관성 및 다른 교육자의 사용 편의성’과 ‘7. 교수 전략’, ‘1. 차별화의 본질’의 특성을 보완하면 영재 학생이 가진 재능과 특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며 영재교육 현장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프로그램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초등 생명과학 영역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중등 영재교육과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프로그램이 영재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직접 수업을 관찰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gifted education programs by analyzing the secondary life science among the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of the Gifted Education Database (GED). Methods Among GED's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secondary life science consists of ‘system and interaction’ in 2018, ‘energy’ and ‘stability’ in 2019, and ‘pattern of change’ in 2020. Since each major theme consists of several sub-topics and independent classes are conducted for each sub-topic, the class grouped into one sub-topic was considered as an individual program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the program,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used as an analysis tool. Three incumbent scien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the program, and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were continuously discussed and opinions were colle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 total of 15 programs, a score of 22 to 30 out of 36 points of the evaluation criteria appears. Looking 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criteria,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15 programs are ‘3. target clarity’, followed by ‘2. talent development opportunity’, ‘5. evaluation element’, and ‘6. learn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least visible characteristics in 15 programs are ‘10. consistency of program components and ease of use by other educators’, followed by ‘7. teaching strategy’ and ‘1. nature of differentiation’. Conclusions When developing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the secondary life scien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10. consistency of program components and ease of use by other educators’, ‘7. teaching strategy’, and ‘1. nature of differentiation’.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actively support the talents and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will be able to properly utilize the program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competency-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the elementary life science to closely link with secondary gifted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to directly observe classes on how the programs analyzed in this study are implemented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지흔(Chae, Jiheun),천재순(Chun, Jaesun). (2024).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7), 83-100

MLA

채지흔(Chae, Jiheun),천재순(Chun, Jaesun).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7(2024): 83-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