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ovill & Bulley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논의
이용수 124
- 영문명
-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Bovill & Bulley’s model of student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sig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성(Ji-seong Yoon) 임재일(Jae-ill L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7호, 375~3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학생 참여 교육과정1)을 주목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모델을 제시하는 교육과정 자료나 연구물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 중 Bovill과 Bulley의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국내외 학생 참여 교육과정 연구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학생 참여 교육과정 정책을 고찰하였으며, Bovill & Bulley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과 모델 개발의 배경이 된 일련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Bovill & Bulley 모델이 갖는 특징과 의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Bovill & Bulley 모델은 Arnstein(1969)의 시민 참여 사다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태생적으로 분권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연구물들에 비하여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단계 및 예시를 제시하고 있으며, 앞선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학생 참여를 위한 맥락을 고려하는 자율성과 기관의 지원 및 지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논의는 학생 참여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한 교육청 차원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 학생 참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 새로운 교육과정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물리적 여건이 제도적⋅정책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가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lack of curriculum materials or study that focus on the student engagement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provide a model for its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Bovill & Bulley's model of student participation curriculum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ethods we revie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 engagement curriculum studies and the student engagement curriculum policy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analyzed the Bovill & Bulley’s student participation curriculum model and the series of studies that led to its development to analyze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Bovill & Bulley model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Results We found that the Bovill & Bulley’s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rnstein's (1969)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is inherently focused on decentralization. It also provides more specific and detailed steps and examples than other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 has confirmed the need for contextualized autonomy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endorsement for student participation.
Conclusions This implies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highlighting the need for curriculum-level support for school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necessity to ensure teacher autonomy in the operation of student participatory curriculum, and the institutional and policy-based assurance of sufficient time and physical conditions for new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학생 참여 교육과정 정책
Ⅳ. Bovill & Bulley 모델의 특징과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7호 목차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7호 표지
- 학사제도 유연화 적용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스포츠 분야 공공언어 정비 방안 연구
-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측정 도구 PPLI(Perceived Physical Literacy Instrument)의 타당성 연구: 한국 중학생 대상
- 대학생 실패내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간호정보활용능력, 근거기반실무역량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다학제간 팀티칭교육 효과
- 포괄적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생활지도 영역에서의 교사 역할
- 영아기 자녀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어머니-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COVID-19 백신접종의향과 관련 불안이 COVID-19 예방행위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한 경력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경험에 대한 자기성찰 연구
-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의 역량중심 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중등 생명과학 영역 분석
-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기본심리욕구 진로관여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목표지향성이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릿의 매개효과
- 25년간의 조기 영어교육 관점 변화
- 고등학생의 인지정서조절전략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마젠타스튜디오(Magenta Studio)를 활용한 중등 블렌디드 러닝 창작 음악 교수학습 방안
- A literature review to explore the use of Contact Theory, in exploring integration strategies between students who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South Korean students
- 고등학생의 자기제시동기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영향
- 중등학교 예비 진로전담교사의 MSCI 참여경험과 학교적용방안 탐색
- 학사경고를 받은 전문대학생을 위한 Adler와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의 신체활동횟수와 주요 사회적 문제와의 관계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MZ세대와 기성세대 유치원 교사들 간의 특성에 대한 상호 인식 탐구
- 한의과대학 재학생의 한의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 초등영어 쓰기에서 비계를 강화한 내용-언어 통합(CLIL) 모델 개발
- Bovill & Bulley 학생 참여 교육과정 모델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논의
- 학생 주도성이 발현되는 맥락과 수준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지각된 과제가치와 학습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협동학습태도를 통한 자기결정성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 리더육성 장학사업 참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진로설계, 학업 및 대학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LT협동활동을 기반한 유아 디지털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원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신병 훈육요원을 위한 군 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시기 아동의 독서량과 초등학교 6학년 때의 학습태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목도나루학교 전환기교육 학습자의 자아 성장 사례연구
- 중년기 위기감과 정신건강의 관계
- LMS 성찰 글쓰기를 활용한 ‘뉴스포츠 실기 및 지도법’ 전공수업에 참여한 직전 교사의 경험과 시사점 탐색
- 지역사회 연계 환경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30세 이상 성인 당뇨병 유병자의 치료와 조절
- 대학생의 학과만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중등학생의 인지조절전략과 학업 효능감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코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독거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반성적 사고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민주적 학급 운영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요양병원 실습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반 데이터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양교과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현황이해
- 서울시 영유아 돌봄의 공동육아방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 ESG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중요성 및 인식과 사회문제 인식 연구
- 국어 교육용 정보 텍스트의 목록화
- 자기불일치가 물질주의에 미치는 영향
- 에듀테크 기반의 융합 수업설계 원리 개발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과 타당화
- 부모자녀관계, 학습양식 선호 및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종단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