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 모형 개발

이용수 30

영문명
Development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주수원(Ju, Suwon) 유영만(You, Yeong Mah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619~6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식 암기 중심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개발에 적합한 실천적 경험이 바탕이 된 교육활성화를 위해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의 초기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청소년 실천공동체를 활성화 시켜 청소년들이 보다 주체적⋅주도적⋅실천적인 경험을 하며 교육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방법 개념적 모형의 개발을 위해 Randers(1980)의 4단계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첫째 개념화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실천공동체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청소년 실천공동체에 맞추어 재개념화했다. 둘째, 형식화를 위해 청소년 실천공동체 관계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청소년 실천공동체 개념적 모형의 구인을 도출하고 구인 간의 관계를 도해시켜 보았다. 셋째, 검증을 위해 실천공동체, 청소년 실천공동체 등에 있어 경험과 지식이 많은 전문가의 관점, 조언, 평가 등을 수렴하였다. 네 번째 단계인 실행은 개념적 모형을 정책적으로 전파하고 확산하는 단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검증 단계까지만 이루어졌다. 결과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 모형의 구인으로서 청소년의 주체적 관심, 공동활동을 통한 타인과의 소통, 학교 안팎의 실천활동이 도출되었다. 설계원리로는 촉진적 설계원리, 참여적 설계원리, 생태적 설계원리를 제시했다. 설계전략은 디딤돌 전략, 씨앗 가꾸기 전략, 과정중심 전략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를 다시 학습모형의 목표인 자기 생각과 자기 언어갖기, 타인과의 소통능력 향상, 문제해결 역량 향상과 연결지으며 나무의 생애주기에 빗대어 주체적 관심 형성, 사회적 확장, 주체서기에서 활동의 확장 과정으로 정리했다. 결론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교수자 중심의 일방적 전달 교육이 아닌 청소년의 관심과 흥미에 따른 교육을 통하여 타인과의 협업능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청소년 스스로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itial conceptual model of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nowledge memorization-based education and to revitalize education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This study sought to find ways to revitalize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so that adolescence can grow educationally through more self-directed and practical experiences. Methods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this study applied Randers’(1980) four-step methodology. First, for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reconceptualized the general compon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fit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Second, for formaliz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stakeholder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constructs of the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conceptual model and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Third, for validation, this study gathered perspectives, advice, and evaluations from experts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in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The fourth step, implementation, is the policy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the conceptual model, so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verification stag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are youth's subjective interest,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joint activities, and practical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The design principles are facilitative design principles, participatory design principles, ecological design principles. The strategies are summarized as stepping stone strategy, seed cultivation strategy, process-oriented strategy. Connecting them to the goals of the learning model, which are to have their own thoughts and language, improve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improve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summarized the process of forming self-interest, social expansion, and expansion of activities from self-standing to self-standing by comparing it to the life cycle of a tree. Conclusions By utilizing the adolescence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model, adolescence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collaborate with others through education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interests, rather than one-way transmission education centered on instructors, and they can acquire competencies by solving practical problems by themsel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수원(Ju, Suwon),유영만(You, Yeong Mahn). (2024).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5), 619-637

MLA

주수원(Ju, Suwon),유영만(You, Yeong Mahn). "청소년 실천공동체 학습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5(2024): 619-6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