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음악으로서의 실용 및 대중음악 분석

이용수 18

영문명
Analysis of practical and popular music as contemporary music: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스텔라(Kang Stell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5호, 77~9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현대음악, 실용음악과 대중음악의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음악취향 및 선호도를 통한 음악교육의 변화 필요성을 확인한다. 초등 음악교과서 내의 실용음악, 대중음악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한 교과서 평가와 다빈도 곡에 대한 개별 평가를 통한 음악교과서의 변화 필요성 제기하고자 한다. 방법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영역에 대해 분석한다. 8종 출판사의 32개 교과서 수록곡을 분석하였고, 다빈도 곡을 설정하여, 각 곡의 특성 및 내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음악교과서 수록곡 분포 및 다빈도 곡에 대한 개별 평가를 통해 교과서 수록곡에 대한 변화 필요성을 확인한다. 결과 첫 번째, 애니메이션음악이 26.4%, 영화음악은 25.8%로 50% 이상을 점유하고, 두 번째로 외국곡이 121곡, 국내곡 61곡이며, 외국가요(13.2%)가 한국가요(9.9%) 보다 많고, 가창 영역에서 외국가요가 많다. 세 번째로 교과서별 편차가 있으며, 네 번째로 음악 산업과 관련한 내용이 미흡하고, 5곳(32곳 중)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다섯 번째로 다빈도 곡의 내용과 발표 시기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끝으로, 다빈도 곡들이 중, 고등학교 교과서에 반복 수록되어 있어 이 부분에 대한 타당성 조사 역시 필요하다. 결론 음악교육 영역에서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과서 내 수록곡에 대한 현실적 반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과서 수록곡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과학발전으로 인한 대중음악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향후 대중음악 교육에서 필요한 방식과 내용에 대한 실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자료 수집 및 새로운 악곡 연구 등의 전문가 차원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need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contemporary music, practical music, and popular music, and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changes in music education based on individual music tastes and preferences, are affirmed. This aims to advocate for a reassessment of music textbooks, particularly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rough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practical and popular music content. Furthermore, the proposal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changes in music textbooks through individual assessments of multi-frequent songs. Methods Analyze the popular music area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We analyzed the songs included in 32 textbooks from 8 different publishers, established the multi-frequent songs, and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each song. The need for changes to the songs included in textbooks is confirmed through individual evaluation of the distribution of songs included in music textbooks and the multi-frequent songs. Results First, animation music accounts for 26.4% and movie music 25.8%,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50%. Second, there are 121 foreign songs and 61 domestic songs, with POP (13.2%) followed by K-POP (9.9%), and there are many POP in the singing field. Thir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Fourth, the content related to the music industry is insufficient, and it is included in 5 textbooks (out of 32), and Fifth, there are problems with the content and release period of multi-frequent songs. Lastly, since multi-frequent songs are repeatedly includ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 feasibility study on this aspect is also necessary. Conclusions There is a need to realistically reflect the songs included in textbooks,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ongs included in textbooks.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perception of popular music education due to scientific development, and a practical approach to the methods and content needed for future popular music education is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실용음악, 현대음악, 대중음악에 대한 선행연구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스텔라(Kang Stella). (2024).현대음악으로서의 실용 및 대중음악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5), 77-93

MLA

강스텔라(Kang Stella). "현대음악으로서의 실용 및 대중음악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5(2024): 77-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