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용수 78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미정(Mi Jeong Park) 황선진(Seon Jin Hw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호, 891~90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애착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애착이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남학생 725명(51.3%), 여학생 689(48.7%)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24.0와 SPSS Process Macro3.0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첫째, 부모애착은 자율성(r=.409, p<.001), 자아탄력성(r=.404, p<.001)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율성은 자아탄력성(r=.396, p<.001)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부모애착은 하위요인인 모-소외감은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애착이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은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결과를 통하여 자율성이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2022년 교육과정 중 ‘디지털’, ‘기후변화’, ‘자기주도성’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있다. 학령인구감소로 개별 맞춤형 교육이 강조되었다. 미래변화에 능동적으로 준비하고 활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학생의 주도적인 자율성과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애착관계와 자율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on self-resilience and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on autonomy,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12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9), which included 725 boys (52.5%) and 689 girls (48.9%). For the analysis, SPSS25.0 and SPSS Process Macro3.0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main findings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both autonomy (r=.409, p<.001) and self-resilience (r=.404, p<.001). Second, autonom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self-resilience (r=.396, p<.001). In contrast, the parental at-tachment subfactor, mother-alienation,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resilience. Third, we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utonomy and autono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silience, suggesting that autonom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resilience. Conclusions Digital, climate change, and self-direction are the main themes of the 2022 curriculum. Personalized education is emphasized due to the declining school age population. The importance of student initiative and self-resilience is growing in order to proactively prepare for future changes and strengthen their utilization skill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parental attachment and autonomy in order to improve the self-resilience of school-age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정(Mi Jeong Park),황선진(Seon Jin Hwang). (2024).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 891-901

MLA

박미정(Mi Jeong Park),황선진(Seon Jin Hwang).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024): 891-9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